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아직 개발 중이지만 시속 약 47km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구보, 습보 형태로 뛸 수 있다. 다만 아직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보조장치를 달아야만 뛸 수 있다. DARPA는 미국 MIT에도 연구비를 지원해 달리기가 가능한 네발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우리나라 서강대 팀도 참여하고 있다. ➊과 ➋는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잃기 때문이다.청금석으로 울트라마린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기록상으로 13세기가 넘어서야 울트라마린이 사용되었고, 청금석이 유럽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것이 14세기인 점에 미루어 13세기 말이라고 추정할 뿐이다.청금석 자체 가격도 비쌌지만 ...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그 사람도 이 공간만큼은 마음대로 할 수 없답니다. 그래서 그도 날 함부로 할 수 없지요. 다만, 난 그의 제안이 참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그의 말을 들어주기로 했는데, 이번엔 당신들 쪽도 점점 재미있어지는군요.”“테스티가 무슨 제안을 했지? 우릴 풀어 줄 생각이 있는 거야?”“당신들, 시간의 ... ...
-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정백당의 위험성에 대해서 많은 자료를 과학적 시각에서 잘 정리해서 제시했습니다. 다만, 기사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가장 마지막 단락에 있네요. 초콜릿 제조사들이 어떤 속임수를 쓰고 있는지 더 자세히 쓰면 더 재밌는 기사가 될 것 같습니다.2. 우리의 몸을 땀으로부터 해방시켜주는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전이었다. 그래서 슈렙퍼 교수는 “자세한 원리는 아직 모른다. 다만, 극심한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뇌의 영역을 밝히는 데 한걸음 다가섰다”고 말했다. 이유도 모른 채 치료 결과만 관찰했는데, 조 교수의 연구 결과가 이유를 밝히는 데 힌트가 될지도 모른다.이러한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달에 햇빛이 반사돼 오는 것이기 때문에 하늘에 물방울이 충분하다면 무지개가 생긴다. 다만 달빛이 아주 밝아야 한다. 보름달이 환한 밤, 해변이나 분수 근처를 지나고 있다면 달무지개를 꼭 찾아보자.안개 속에서도 무지개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안개무지개는 일곱 색깔이 아닌 ‘하얀 무지개’다. ...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직접 실험을 해서 표로 정리한 뒤, 그 의미를 기사로 풀어 쓴 점이 매우 돋보입니다. 다만, ‘자신에게 맞는 음료를 선택해보자’고 했는데 밀도 차이로 자신에게 맞는 음료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아스파탐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더 조사해 썼다면 독자의 궁금증을 더 잘 ...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하게! 서울대생 최정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검사에서 156 이상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정확한 수치가 얼마인지는 저도 잘 몰라요. 다만 분명한 것은 지능지수가 높아서 수학을 잘했던 것은 아니라는 거예요. 지금 돌이켜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 수학 공부를 가장 열심히 했는데, 수학을 좋아했기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열심히 했기 때문에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상에 있는 세 직선이 만나 생긴 도형도 아니고, 내각의 합도 180°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19세기 독일의 기계공학자 프란츠 뢸로가 기계 장치에 삼각형 모양의 도형을 사용하면서 뢸로 삼각형이라고 이름 붙었다.한편 구면 삼각형은 구면 위에 정의된 삼각형으로, 서로 다른 대원 세 개가 만나는 ...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밀도 변화를 설명하는 방정식으로,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8세기 프랑스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도 이 방정식을 이용해 열전달 현상을 설명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튜링 이후 많은 수학자들은 이 방정식을 전혀 새로운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다.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