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무늬도 자세히 보니 새롭죠? 아마 눈치 빠른 독자라면 정답을 눈치 챘을 거예요. 마지
막
문제 정답은 바로 ‘타이어 무늬는 대부분 비대칭이다’입니다.❶~❹번 타이어 무늬도 데칼코마니처럼 절반을 접었다 펴서 완벽히 일치하는 대칭이 아닙니다. 그런데 아예 오른쪽과 왼쪽의 무늬가 전혀 다르게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불러일으켰다. 다양한 신경외과 질환과 그 치료법을 소개해 뇌 수술에 대한 사람들의
막
연한 공포와 부담도 줄였다. 이런 변화는 선진국에 비해 5년 정도 뒤쳐진 뇌신경계 기초연구와 기반기술, 치료제 개발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선에서 일하는 신경외과 의사의 입장에서는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패턴을 분석한 결과 먼지의 기원은 초신성 폭발로 추정됐다. 태양보다 큰 별의 마지
막
단계인 초신성 폭발이 초기 우주에서 이미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한편 감마선폭발은 우주 초기부터 전 영역에 걸쳐 관측되고 있는데 80억 년 전 부근이 피크다. 즉 우주의 진화에서 별이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펄스의 길이를 길게 늘려 레이저 빛의 세기를 낮춘다. 이렇게 빛을 증폭시켜나가다 마지
막
단계에서 빛을 내보내는 시간을 단축시키면 아주 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이 시간을 30fs(펨토초, 1000조 분의 1초)까지 줄였다. 그 결과 레이저의 최대 출력을 1PW(페타와트, 1000조W)로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꿈을 꿔봐. 언제 이뤄질지 모르고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꿈이지만 이랬다저랬다 하면서
막
꿔보는 거야. 그럼 하고 싶은 게 생겨.”물론 꿈만 꾼다고 해서 이뤄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신나게 꿈을 꾸되 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 꿈은 있는데 실력이 없다면 원하는 것을 할 수 없다. 후회하지 않으려면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농구
막
슛 65% 성공률의 비밀’이라는 제목을 클릭했다. 과학동아 기사였다. 농구
막
슛 65% 성공률의 비밀 바스켓을 향해 슛한 농구공은 물리적으로 투사체라고 할 수 있다. 농구공은 날아가는 최대거리보다 코트바닥에서 3.05m 높이에 있는 지름 45cm짜리 링에 넣어야하는 정확성이 중요한 투사체다. ... ...
어린이 과학동아가 과학으로 바꾼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론 덕분에 제가 연구를 할 수 있었죠. 이것 좀 보세요! 제가 앉았더니 영상이
막
바뀌어요. 마치 중심으로 빨려드는 느낌인데요?여러 가지 무늬를 이용해 중력파를 표현한 것 같군. 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가속할 때 시간과 공간을 모두 지나가는 파동인데…. 자네가 만든 ... ...
열차 기관사 '뿌잉 뿌잉 치치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에휴…, 다행이다. 이제 거의 다 조립했어. 이건 어디에 끼우는 부품이지?”문제 ❸긴
막
대 두 개가 남았다. 어디에 설치해야 할까? 증기기관차를 잘 보고 어디에 부품을 끼울지 생각해 보자.정답과 해설조지의 증기기관 칫솔“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증기기관차를 움직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마다 지지대를 달아준다. 마지
막
에는 완성품을 액체에서 꺼내면 된다. 3차원 프린터에 들어가는 실은 플라스틱을 길게 뽑아 낸 것이다. 실타래처럼 둘둘 말아놨다가 한 줄을 뽑아 프린터 헤드에 달린 노즐로 내보낸다. 이때 순간적으로 강한 열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않고 합성에 매달린 결과 6개월만에 인공 인슐린 유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리고
막
구성된 제넨텍의 연구진이 두 유전자 조각을 받아 각각 플라스미드에 넣고 클로닝했다. 그리고 만들어진 단백질 두 조각을 합쳐 온전한 인슐린 단백질로 만드는 과정에 마침내 성공했다. 1978년 8월 21일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