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복"(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뫼비우스 띠로 만들어진 도로를 상상해봐. 쭉 뻗은 길인가 싶더니 언덕길과 내리막길이 반복해서 나와. 도로 위를 차로 달리다보면 180°로 몸이 비틀어지는 것도 같고, 거꾸로 서는 느낌이 들어. 또 분명 한 바퀴 돌았는데 정확히 나는 출발지의 도로면 반대편에 있어. 이처럼 한 바퀴를 돌아왔을 때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재생된다. 이렇게 총 10번의 자극을 반복하고 휴식 시간을 가진 뒤 10번의 자극을 또 반복한다. 한두 차례 테스트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래현 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이 실험을 20대 남녀 6명(남자 3명, 여자 3명)에게 실시했다. 광고 ASMR 보더니 ... ...
-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결제한다. 회사에 도착해 지문인식 장치에 손가락을 대고 사무실에 들어온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생활이 별 탈 없이 유지되는 이유는 사실 암호 덕분이다. 교통카드 단말기에 신용카드가 닿는 순간에는 카드 정보를, 쇼핑몰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순간에는 이름과 공인인증서 공개키를, 지문인식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대개 정보 유출은 암호화시킨 정보를 풀었다가 다시 암호화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중에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사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형암호처럼 암호화된 정보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를 분석할 경우 정보 유출의 위험이 거의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차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심 교수팀은 반복 테스트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전방 횡단보도에 사람이 건너가고 있는데 완전히 멈추지 않고 조금씩 앞으로 움직이는 점도 특이했다. 심 교수는 “자율주행자동차가 사람의 운전 습관을 그대로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반복되는 규칙이 있는 프랙털에 매료돼 프랙털 예술을 시작했습니다. 같은 모습을 반복해서 만들어내는 나뭇가지처럼 자연의 모습을 프랙털 작품으로 만들어 내기도 하고, 프랙털과 상관없는 사물도 프랙털 개념을 이용해 표현하기도 합니다. 급기야는 기하학 개념 자체를 작품으로 나타내기도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중 일부 중요한 정보는 다음 층에서 가중치를 얻는다. 각 층을 통과할 때마다 이 작업이 반복되고, 마지막 출력값으로 가장 가중치가 높은, 즉 개발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보호 상황인 경우에는 핸들의 각도 등이 최종 출력값이 된다. 이 값에 대한 피드백은 다음 데이터를 학습하는 데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관계를 파악하기위해 막대기 모양의 미생물을 배양했고, 실험용 쥐에게 접종 실험을 반복했습니다. 접종한 쥐가 사망하고 사망한 쥐의 혈액에서 동일한 형태의 미생물이 발견된다는 사실을 수십 차례에 걸쳐 확인한 결과, 그는 미생물(탄저균)과 질병(탄저병)의 인과관계를 주장하게 됩니다. 이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수 있어요. 그럼 순식간에 엄청난 폭발이 일어날 수도 있지요. 연구팀은 엔진 시험을 반복하면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답니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현재 시험 발사체 비행모델을 조립하고 있으며, 7월 안에 완성해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춘기의 뇌는 말 그대로 ‘제2의 탄생기’를 거치고 있다. 가지 뻗기와 가지치기를 반복하는 특성을 두고 사춘기의 뇌가 ‘변화가능성(plasticity·가소성)’이 있다고 표현한다. 하지만 동시에 사춘기의 뇌에는 ‘가단성(malleability)’도 있다. 얼마든지 펴서 늘릴 수 있는 상태이지만, 이때 사용하지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