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작도하면서 시작됐다. 결국 그는 대칭을 이용해 정육면체와 정이십면체를 처음 발견하는
성과
를 거두었다. 이처럼 대칭적 성질을 이용해 새로운 도형을 발견해 내는 것도 대칭 연구 중 하나다.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 앨런 홀든은 구멍 뚫린 정다각형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뒤엉켜 있는 모양의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박사는 2012년 11월 ‘네이처’에서 “우리의 최고
성과
가 이제 자연의 가장 못난
성과
에 근접했다”고 말했다.그런데 이런 연구는 왜 하고 있을까.새로운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다. 새로운 재료나 치료제를 만들려면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말아야 한다.목표 조직이나 기관에 가기도 전에 분해되면 ... ...
안드로메다와 아스트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될 겁니다. 임금이 삭감되거나 동결되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들은 연말 대기업
성과
금 1000% 소식을 듣는다면 그야말로 다른 세계의 일로 생각할 수 있는 ‘아스트랄’한 상황인 것이죠. 미국은 10시간을 조금 넘게 비행기를 타면 갈 수 있는 익숙한 나라지만 총기 난사사건이 발생해 많은 이들이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한꺼번에 검출해낼 수 있다. 게다가 읽어낸 유전자 서열로부터 항생제나 약제 내
성과
같은 치료에 도움이 되는 귀중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이 기술이 널리 이용되기 위해서는 비용을 낮추고 분석 시간을 줄이며, 다양한 미생물의 DNA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하는 등 몇 가지 문제를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강국의 길로 들어서는 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로가 가동된 지 50년 만에 이 정도
성과
를 올릴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최초로 자력 개발한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다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위험하더라도 어떤 생물도 멸종되지 않기를 바랐어. 사람이 불편한 것보다 생물다양
성과
공존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 거지.해충을 죽이는 것과 멸종은 아주 달라. 모기나 바퀴 때문에 불편해 이들을 없앨 순 있어. 하지만 멸종시켜서는 안 돼. 이들도 생태계에서 나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람에게 ... ...
“대학 교수와 함께 연구해요”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과제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태열 교장과 교사들이 직접 발로 뛰어서 얻은
성과
다. 지난해 싸이드림반에서 활동한 2학년 이명호 학생은 고려대 이상호 교수와 함께 지난해부터 ‘닭 초기배 발생 중 조혈세포의 시공간적 발생 및 생쥐 배아줄기세포의 조혈줄기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편집부에 오랜만에 반가운 편지가 도착했다.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금요일에 과학터치’강연 현장취재와 강연자 정상섬 연세대 교수 인터 ... 여학생이 1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정 교수는 여학생도 공대에서 얼마든지 좋은
성과
를 낼 수 있다며 공학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 ...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2008년 중국에서 장수하늘소 알 42개를 받아 건강한 성체(암수 한 쌍)로 키웠어요. 이번
성과
로 지금까지 알 수 없었던 장수하늘소의 생태 사이클을 완벽하게 알아냈답니다. 사진은 왼쪽이 수컷, 오른쪽이 암컷이에요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생각하지 못한다면 잘못된 쪽으로 현혹되기 쉽습니다. 수학의 가장 큰 특징이 정확
성과
합리성입니다. 예를 들어 확률에서 오차범위 안의 차이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그런데 오차범위의 개념을 모른다면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될 수도 있어요. 결국 수학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합리적인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