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재미있는 모양의 천체를 발견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이름모를 곤충의 머리부분에서 한
쌍
의 더듬이가 뻗어나온 것처럼 보인다. 왜 이런 모양을 하고 있을까. 까마귀자리에 전해오는 이야기와 관련되지는 않을까.그리스신화에 따르면 까마귀는 태양 신 아폴론이 키웠던 새다. 아폴론의 까마귀는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백만가지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30억
쌍
중 단지 5%만이 단백질 정보를 갖고 있을 뿐이다.하지만 현재 친자감별에는 단백질 정보를 갖지 않는 나머지 95% DNA의 일부를 이용한다. 이 DNA에는 A, G, C, T 염기가 몇개를 단위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선별기 내부에는 광센서가 배치돼 있다. 이 광센서는 위와 아래가 한
쌍
을 이룬다. 위쪽 센서에서는 적외선을 계속 내보내고, 이 빛을 아래쪽 센서가 받아들이는 것이다.그런데 지폐가 투입구로 들어오면, 광센서 사이를 가로막아 빛이 제대로 아래쪽 센서로 들어가지 못한다. ... ...
쌍
둥이 퀘이사는 충돌중인 은하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하지만 성능이 뛰어난 찬드라 X선망원경으로 관측하자 진실이 드러났다. X선으로 바라본
쌍
둥이 퀘이사는 너무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물론 가시광선에서 이들이 똑같아 보이는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았다. 이들 퀘이사가 서로 가까이 형성돼 가시광선에서 똑같아 보이고, X선으로 중심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탄생을 막끼리의 충돌로 본다. 먼 과거에 휘어진 5차원 공간에 평탄하고 텅빈 막 한
쌍
이 나란히 있었다. 어떤 시기에 두개의 막이 특정 거리에 있을 때 세번째 막이 하나의 막에서 분리되고 다른 막(우리우주)으로 떨어진다. 중간에 공간의 양자요동으로 잔물결이 일어나고 잔물결은 충돌 순간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에필요한주형인‘한가닥(single-stranded)의DNA 제조’를 가능하게 한 바이러스다. 30억
쌍
의 염기서열을 밝혀내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던 데는 한가닥 DNA의 제조기술이 큰 공헌을 했다.| 인핸서 |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늘려주는 촉진인자다.| 인트론 |DNA염기서열 중에서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결과 원자들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이를 세개의 축에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세
쌍
의 레이저를 이용하면 공간적으로 완벽히 한 지점에 원자들을 멈추게 할 수 있다.이같은 레이저 냉각법으로 원자들을 nK(${10}^{-9}$K)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 원자는 1초에 2cm 움직인다.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을 해독해내는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이제는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을 통해 수만개 유전자와 수백만개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과제를 안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가 유전자와 단백질을 규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 ...
인간 염색체 20번 유전자 해독 완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99.5%에 대해 99.99% 이상의 정확도로 염기서열을 해독했다”고 밝혔다.이로써 전체 23
쌍
의 염색체 가운데 21번, 22번과 함께 총 3개의 염색체 염기서열 해독작업이 마무리됐다. 22번은 지난 1999년 12월 최초로 완성돼 유전자 5백45개를, 21번은 2000년 5월 완성돼 2백25개의 유전자를 각각 확인한 바 있다.20번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만드는 정보의 설계도를 분석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결과물인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은 단백질 연구의 중요한 밑거름일 수 밖에 없다.그렇다면 왜 요즘 들어 생명과학자는 생체 내 물질 중 유독 단백질에 주목할까. 단백질이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일까. 단백질 없으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