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젖먹이
유아
어린애
베이비
어린이
애기
아이
d라이브러리
"
아기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직녀별은 바로 목마의 귀에 붙은 손잡이에 해당한다. 손잡이가 반질반질 빛나는 걸 보면
아기
가 목마 타기를 무척 즐겼다고 상상된다.망원경으로 볼만한 천체로 먼저 엡실론(ε)별이 있다. 직녀별과 삼각형을 이루는 별 중 왼쪽 것으로 무척 유명한 4중성이다. 이 별은 1779년 허셜에 의해서 ‘쌍쌍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생후 5개월쯤 돼야 완성되기 때문이다. 1.0의 정상시력은 대략 만 4-5세가 돼야 하며,
아기
들의 눈은 약80%가 원시 상태다.그러므로 어릴때 시력이 나쁘다고 굳이 원시안경(돋보기)을 맞추어 줄 필요는 없다.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눈은 점차로 근시가 되고 고등학교를 졸업할 떄 쯤이면 약50%의 학생이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제시하였고, 실험적으로도 성공했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당시 화제가 되었던 '시험관
아기
' 에 비하면 엄청난 충격이었다. 정자와 난자의 결합이 아닌, 단일 개체의 체세포에서 무성(無性)적으로 새로운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은 어쩌면 신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했을테니까.1975년 미국 FDA의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함께 통증 전문가들이 대표적으로 꼽는 치료 대상은 분만통과 수술 후에 오는 통증이다.
아기
를 낳을 때 산모가 느끼는 통증은 암으로 인한 것보다 더 크다고 한다. 더욱이 분만통은 몸에 무슨 병이 있어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말은이미 병의 원인이 제거됐음을 ... ...
3. 불임과 인공수정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벽에 걸려 있는 시험관
아기
들의 사진을 바라봤다. 보통 아이와 다른데가 없는데 '시험관
아기
' 하면 보통아이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아마도 편견 때문일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했다 ... ...
동아일보 전자신문 인터넷에 뜬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동아일보 전자신문이 인터넷 서핑의 행태를 바꾸어놓을 것"이라며 새로 태어나는
아기
에게 아낌 없는 관심과 질책을 부탁했다."외부에서는 동아일보 전자신문이 시기적으로 늦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더군요. 그러나 인터넷 인프라와 관련된 우리 사회의 여건을 생각하면 세간의 평가가 꼭 옳은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어렵다. 게다가 바깥 세계와의 접촉을 피할 구실과 핑계를 항상 찾는다. 예를 들어
아기
를 가진 여자는 임신을 집 밖에 나가지 않을 좋은 구실로 여긴다.심리치료가들은 항우울제 종류의 약물을 처방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런 약을 복용하지 않으려고 한다. '중독' 의 위험 때문이다.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알코올의 독성효과가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임신부가 담배를 많이 피우면
아기
는 심리나 학습능력에 손상을 받는다. 우선 흡연으로 인해 산모의 혈중 일산화탄소 수준이 증가해 태아에 대한 산소 공급이 감소한다. 또한 흡연이 태아의 당질과 단백질 대사에 악영향을 미치며, 혈중 비타민(특히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정자들을 어떻게 그 오랜 세월 동안 체온 상태에서 건강하게 유지하는가이다. 시험관
아기
를 비롯해 인공 수정을 목적으로 정자를 액체 질소 속에 넣어 얼렸다가 필요할 때마다 다시 녹여 쓰는 인간의 기술과는 비교가 안되는 수준이다. 단칸방에서 대도시로여왕개미가 새살림을 차리는 방은 지름 1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할 수 있는 것과 같다. 좋은 머리를 어느 정도까지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금방 태어난
아기
의 뇌는 약 4백-5백g으로 성인 뇌의 약 30%정도의 무게밖에 안된다. 그러나 신경세포(뉴런)의 수는 어른과 같다. 단지 성장함에 따라 신경세포의 크기와 시냅스가지수가 훨씬 복잡해지고 많아질 뿐이다.이러한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