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정
자시
다섯
haut
hauts
Eau
물
d라이브러리
"
오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보이는 7개의 점이 찍혀있다. 이 단의 좌우에는 두 마리의 호랑이가 이를 지키고 있고 그
오
른편에는 절하는 남녀가 묘사돼 있다.따라서 이 그림은 어떤 종교적 기원을 표현하는 장면일 것이라고 김 박사는 풀이한다. 만약 이 장면이 예불하는 모습이라면 불교 사찰에서 전해지는 칠성각 신앙의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태양의 수명이 약 50억년이라고 하니 말이다. 태초에 빛을 선사한 이래로 변함없이 타
오
르던 태양도 결국은 그 빛을 잃어버리고 차갑게 식어버릴 운명 앞에 놓여 있다.혹시나 그때까지 인류가 살아있다면, 우리는 지금도 어딘가에서 빛나고 있을 또다른 태양을 찾아 떠나야만 한다. 그리고 그때가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어업 선박에서 유출되는 기름 및
오
·폐수를 최대한 줄이려는 노력이 시급하다. 인위적인
오
염원이 제거된다면 아직까지 울릉도에 비해 비교적 청정해역이라 할 수 있는 독도 연안의 자생력으로 바다생태계가 어느 정도 복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독도 생태계를 잘 보존하는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은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아무색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다. 흑색에 가까운 색부터 염색을 하면 간색이 나
오
기는 커녕 색은 아예 죽어버리는 것이다. 이런 원리는 현대의 화학 염색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우주의 이치를 승화한 생활의 지혜인 셈이다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 어머니의 후손’ 이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인류의 고된 여정을 되돌아보면서
오
늘날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와 이권을 둘러싼 피비린내나는 동족(호모 사피엔스)상잔의 비극이 어서 끝나기를 기원해 본다. 3월 15일 시작된 이번 전시는 5월 30일까지 계속된다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큰 약점인 보관성을 개선한 품종개발이 한창이다. 좀더 단단한 과육을 갖는 품종이 나
오
면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이처럼 조직이 워낙 연약한 과일이다 보니 병충해에도 약할 것이고 따라서 재배시 농약을 과도하게 쓸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정 연구사는 “딸기는 수시로 꽃을 피우고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강 교수는 특히 유방 줄기세포와 자궁 줄기세포에 관심이 높다.“월경을 생각해 보십시
오
. 매달 자궁내막에 엄청난 조직이 생겼다가 떨어져나가는 일이 반복됩니다. 줄기세포 연구를 하다보면 ‘남자란 쓸모가 없고 역시 여성이 생산적이구나’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사실 현재 기술로는 배아 ... ...
기술부총리 신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정부조직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오
장관의 권한이 법적으로 확립되지 않는 한 과학기술정책을 총괄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한편 3개부처 장관이 모두 전자공학과 출신이어서 기초과학이 소홀히 다뤄지지 않겠냐는 우려도 있다. 서강대 화학과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표준기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속도는 6Mhz에서 최고 20Mhz까지 다양하다스타트렉에 나
오
는 기술로 2360년대에 구현되는 실제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이다 이동(transporter)과 복사(replicator), 홀로그래픽 시스템이 결합된 기술이다 실제 또는 가상을 배경으로 프로그래밍된 공간에서 사람들이 활동한다 실제와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 복원돼 있는 앙부일구가 미시를 지나 2각쯤을 가리키고 있다.
오
후 1시 30분경인 것이다. 그런데 손목시계를 보니 실제로는 2시다. 왜 앙부일구와 손목시계의 시간이 다를까.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 윤용현 연구관은 “조선시대에는 지금처럼 영국 그리니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