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셔틀
위성
선박
비행기
항공기
우주왕복선
space-shuttle
d라이브러리
"
우주선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는 4층 아파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5주간’중에서지구는 푸른빛이다!세계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이
우주선
보스토크1호를 타고 우주공간으로 나갔을 때 지구를 보고 한 말이다. 캄캄한 우주에서 지구는 푸른 보석처럼 빛난다. 지구가 푸르게 보이는 것은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의 역할이 크다. 지구의 대기는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한다 1928년 독일의 가이거와 뮐러가 고안한 특수한 방전관이며 선의 계측 등
우주선
이나 원자핵 연구 등 방사선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a선· b선· y선 등의 입자 또는 광량자를 하나씩 세는 장치 이것을 개량한 것이 가이거-뮐러 계수기다하인리히 가이슬러가 제작한 저압기체 방전관(放電管)으로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걸려
우주선
의 물체를 형체 그대로 이렇게 빨리 행성의 표면에 보내는 일이 가능할까.
우주선
안에 가만히 있는 물체를 엄청난 힘으로 가속시키고, 다시 행성에 가만히 내려놓기 위해서 엄청난 힘으로 감속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물체가 받는 가속도는 지구 중력가속도(g)의 수천만배를 넘게 된다.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관한 희망을 보여 줬다. 특히 2001년에 발사된 화성탐사선 ‘마스 오디세이’(Mars odyssey)는
우주선
(cosmic ray)에 노출된 토양의 원소들이 방출하는 감마선을 통해 극지방의 지하에 많은 양의 물이 포함됐음을 포착했다. 결국 NASA는 이전까지 실패한 극지 착륙 계획을 다시 부활시켰고 바이킹 착륙선보다 ... ...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행성에서
우주선
으로‘뿅’하고 순식간에 이동하며 7만광년 떨어진 은하 저편으로‘슝’하고 몇분만에 날아간다. 23세기를 그린 SF TV시리즈‘스타트렉’이 9월로 방송 40주년을 맞았다. 한국 기초과학의 메카 고등과학원의 도움을 받아 2266년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스타트렉의 23세기 미래세계는 사회 갈등이 거의 없이 완벽한 평화를 누리고 있으며,
우주선
엔터프라이즈 호는 그 자체로 전통적인 미국적 가치를 실현시킨 작은 이상향이나 다름없었다. 말하자면 월남전 이후의 장밋빛 미래상을 스타트렉에서 미리 보여준 셈이다.1967년 4월에 방송된 ‘영원의 끝에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꼬부라져 다시 과거로 진행하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이런 웜홀을 만들 수 있다면
우주선
은 적어도 이론상 얼마든지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 타임머신이 가능하다는 말이다.끝으로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초광속 여행’이나 시간여행은 물리학적 원리에 들어맞는가, 아닌가 하는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불시착하면 어떻게 할까. 소콜 우주복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물에 가라앉지 않지만,
우주선
에는 비상구조복이 갖춰져 있다. 오렌지색의 비상구조복은 물에 뜨고 보온 기능이 있는 게 장점이다. 물론 우리 우주인은 비상구조복을 입을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세계 3번째로 유인
우주선
을 발사했고, 일본은 지구에서 2억 9000만km나 떨어진 소행성에
우주선
을 착륙시켰다. 방 교수는 “우리도 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그는 1981년 서울대 항공공학과에 입학한 뒤 16년 동안 오직 한길만 걸어왔다. 항공우주공학은 규모가 크고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실용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지만 여전히 ‘뽐내기 과학’도 지원한다.러시아가 유인
우주선
을 먼저 발사하자 미국이 달에 우주인을 먼저 보내기 위해서 국가적 총력전을 펼쳤던 것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우주개발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한 유용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지금도 이 분야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