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d라이브러리
"
자주
"(으)로 총 3,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흙 속으로 뻗은 뿌리를 통해 물을 빨아들인다. 하지만 실내에서 키우는 화분은 물을
자주
주지 않으면 흙도 말라버린다. 이렇게 수분이 지나치게 부족해지면 광합성뿐 아니라 식물이 살아가는 데 지장이 생긴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를 기공 근처에 바르면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페스트로 인한 사망률이 66%에서 11%로 현저히 떨어졌다. 하지만 2007년 페스트가
자주
발생하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무려 8가지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지닌 페스트균이 발견됐다. 이에 따라 만약 페스트균이 생물 무기로 사용될 때를 대비한 새로운 치료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공간에서는 위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네이버랩스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가구가
자주
옮겨지는 곳에 바코드를 설치해서 어라운드가 바코드를 스캔해 위치를 파악하도록 했다. 에어카트는 자율주행로봇보다는 근력을 강화하는 웨어러블 로봇에 가깝다. 웨어러블 로봇에 사용하는 힘 센서를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그러나 여전히 서구 과학사만 주로 다룬다는 점이 사뭇 아쉽다. 이는 빅히스토리도
자주
비판 받는 지점이다. 과학적 교양을 함양한 시민이 되는 데는 특별한 조건이 필요치 않다. 꼭 대학에서 강의를 듣지 않더라도, 이런 교양서를 통해 과학적 사고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과학과 자연에 좀더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어려워요. 우리나라는 주택보다는 아파트에서 많이 살잖아요. 집에 창고도 없고 이사도
자주
다니다보니 오래된 장난감이나 만화책은 이사할 때마다 버리는 경향이 있어요. 만화는 과거에 불량도서로 치부해 많이 불태우기도 했고요. 사실 이 모든 게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데 말이에요. 오래된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4호’ ‘B 1B’ ‘F-35’ ‘현무2, 3’…. 미사일과 전투기 이름이 요즘처럼
자주
뉴스에 오르내린 적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한반도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데요. 이번 호에서는 미국과 방위 협력을 맺고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는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자는 대신 명상을 하곤 합니다. 어제는 참고래에 대해 깊이 생각했죠. 저희가 악몽을
자주
꾸는 것은 이곳 환경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이럴 게 아니라 실내로 들어가서 차라도 한 잔 드실까요? 궁금한 게 많습니다. 작가님도 저희에게 궁금한 게 많으실 테죠. 참, 불편하시면 눈에서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압력, 두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열에 의한 공동 현상은 우리가 라면 물을 끓일 때
자주
접한다. 뜨거워진 바닥에서 기포가 보글보글 올라오는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물이 없는 빈 공간인 기포, 즉 공동이 생긴 것이다. 압력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따른다. 선박의 프로펠러가 돌거나 ... ...
[과학뉴스] 큰곰은 발로 말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자국을 따라가기도 했지요.연구팀은 “특히 짝짓기 시기에 수컷 큰곰이 암컷보다 더
자주
발을 비트는 행동을 보였다”며, “성별이나 짝짓기 준비에 대한 신호로 보인다”고 말했어요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대상으로 귀 벌레 현상과 뇌의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귀 벌레 현상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우측 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부위는 감정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doi:10.1016/j.concog.2015.04.020). 일각에서는 귀 벌레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