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d라이브러리
"
전력
"(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방출하는 현상 열전자방출(熱電子放出)음 이용한 진공관이 음극을 가열하는데 많은
전력
이 필요한 것에 비해 냉음극 방출은 큰 이점을 가지나 아직은 실용단계가 아니다 P G 너팅이 고안한 분광광도계 용액의 각 파장에 대한 홉수계수를 편광의 성질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60~45%, Ni 40~55%, 이 밖에 약간의 Mn, Fe, C 등이 섞인 것도 있다)으로 이루어진 열전기쌍 열기
전력
(熱起電力)이 크고 값이 싸다 300℃ 이하를 정밀 측정 하는데 사용되지만 200℃ 이상에서는 콘스탄탄이 다소 불안정해진다 구리 쪽이 양이다 단백질 정량법(定量法)의 하나 폴린-로리법이라고도 한다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방수 기술이 필요하다.또 정전 등 비상시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공급시스템, 터널 내 공기 정체를 방지하고 열차 등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각시킬 환기시스템, 화재 시 승객이 대피할 대기 장소와 배연시스템 등이 필요하다.홍 박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핵융합로 속에서 플라즈마 압력에 대응할만한 고주파 복사압력을 얻는 데 방대한
전력
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효를 거둘 수 없었다 플라스틱 시트 및 필름 등을 고주파 유전가열(誘電加熱)로 연속 용착(溶着)시키는 장치 염화비닐 필름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두 전극(雷極) 사이에 넣고 고주파 전압을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된다 그릿글로관의 방전의 개시를 세 전극(기전극)에 의해 제어하는 3극 방전관 미소
전력
의 기전으로 몇 십 mA의 전류가 제어되므로 릴레이 작용을 한다 정차방정식(定差方程式) 또는 차분방정식(差分方程式)이라고도 한다 계차방정식도 미분방정식과 유사한 이론을 전개한다계차방정식은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액체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범위에서만 일어나기 때문에 전류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전력
은 거의 소모되지 않는다.그렇다면 전기적으로 표면장력을 제어하는 일렉트로웨팅 현상으로 어떻게 유체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일까? 방법은 물방울의 한쪽 부분에만 표면장력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주파수대역을 여러개로 나눠 각 대역마다 적절한 데이터 수를 할당함으로써 대역폭과
전력
면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특정한 위험요소를 갖고 있는 집단을 계속 지켜보면서 그 위험요소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지 알아보는 연구 이 연구가 의미가 있으려면 연구할 집단의 규모가 커야 하고,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 있다.HP컴팩이 출시한 TC1100은 사용자들에게 잘알려진 제품으로 통한다. 고효율 저
전력
프로세서를 채택하고 있어 1회 충전으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 핫스왑이란 기능이 있어 다쓴 배터리를 바꿔낄 때에도 전원을 끌 필요가 없다.LG IBM의 X노트 LT시리즈도 최근 유명세를 타고 있다.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일이 관건이다.수동형 태그일 경우 인식용 단말기가 보낸 전파를 칩을 동작시키는
전력
으로 바꾼다. 전원이 생긴 칩은 자신만의 식별번호가 담긴 신호를 다시 되돌려 보낸다. 단말기는 이렇게 전파로 되돌아온 간단한 물체인식코드를 토대로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재료로 한 대표적인 화합물반도체 실리콘반도체에 비해 동작속도가 3∼5배 빠른 반면
전력
소비는 1/3에 불과하다 잡음이 없어 1백기가헤르츠(1천억헤르츠) 이상의 고주파 동작도 가능하다 또 실리콘반도체에 없는 발광특성이 있으며 3백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작동한다 웨이퍼가공이 어렵고 값이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