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계산을 마친 용용은 탈진해 쓰러졌습니다. 좌표★ 평면이나 공간 안에 있는 특정한 점의 위치를 수로 나타내는 걸 말해요. 혜성에 폭탄을 설치하는 일은 딱지가 맡았습니다. 정해진 위치에 폭탄을 고정하고 돌아오기만 하면 폭탄이 정해진 시각에 터지게 되어 있었습니다. 딱지는 우주복을 ... ...
- [학창시설] 시인을 꿈꾸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시절처럼 학교 수업을 듣는 것이 여전히 힘들었어요. 공부도 너무 어려웠고요. 목표도 점점 잃고 방황하다가, 결국 3학년 1학기에 모든 과목에서 D와 F를 받았어요. 이후 8개월간 집에만 틀어박혀 있을 정도로 우울했지요. 결국 대학교를 6년이나 다녔습니다. 당시 제가 존경하는 故 홍승수 서울대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전날엔 집중을 위해서 볼링을 치자고 하는 친구였다. 나와 함께 나란히 수학 시험에서 60점을 받고 충격을 받았던 준이는 당시 유행하던 게임기를 침대 밑에 집어넣었다고 했다. 다시 꺼내느라 애를 먹었다는 말과 함께. 아무튼 준이가 CD를 건넸던 그 날 이후 우리는 예술에 빠졌다. 크리스마스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계수들의 로그 값이 아래로 오목한 ‘로그-오목’이라는 것입니다. 곡선 위에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곡선보다 아래에 있으면 아래로 오목하다고 합니다. 이 곡선에 로그를 취하면 더 완만한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것이 로그-오목입니다. 로그-오목이면 항상 증가하다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리치 격자보다 효율적인 공 쌓기가 없음을 보였습니다. 이 증명에서 매우 놀라운 점은 3차원 문제 증명보다 훨씬 깔끔하고 명료하다는 것입니다. 컴퓨터 계산은 일반 컴퓨터로 실행해도 수 초 내에 답을 주는 단순한 코드만 사용됐고 논문의 길이도 121쪽인 헤일스의 논문과 비교해 8차원 결과는 25쪽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며, “수학적 증명으로 물리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분야를 공부하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낯선 나라에서 일하는 것도 즐겨 리브 교수는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수리물리학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일본으로 떠납니다. 일본 교토대학교 ...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본다면 어떤 기물에 장식적으로 붙인 마구리거나 맨눈으로는 문양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인간이 아닌 신을 위한 작품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다.오랜 시간 걸려 연구하고 공개됐지만, 아직 풀지 못한 수수께끼가 많다. 이 유물의 정확한 사용처와 구체적인 제작방식을 밝히기 위한 후속 연구는 ... ...
- [특집] 식물계절 연구 현장에 다녀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어서 활용하기 좋습니다. Q식물계절 연구를 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데이터 부족이라고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식물계절 연구가 많이 부족합니다. 그동안 식물 연구가 어려웠던 이유는 데이터가 부족했기 때문이에요. 식물계절은 시민과학과 결합하기 좋은 ... ...
- [4컷 만화] 벽돌 모양 장치로 초대형 홀로그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크게 만드는 것이 어려웠어요. 홀로그램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이라는 점이 모여 만들어져요. 픽셀의 간격이 좁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지지만, 그만큼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져요. 특히 입체인 홀로그램은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너무 많아서 낮은 해상도로만 만들 수 있었어요.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환경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19세기의 지질학자들은 2억 5000만 년 전 지층을 기점으로 위와 아래의 화석이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알아차렸어요. 이때 지구에 살던 약 95%에 이르는 생명체가 사라졌는데, 이렇게 대량의 생명체가 사라지는 현상을 ‘대멸종’이라 부르지요. 대멸종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