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열었다.우성훈 KIST 스핀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스핀파’로 자성체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는 기존 이론을 실제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1월 31일자에 발표했다.자성체 안에는 자기적인 상태가 같은 여러 개의 구역이 있는데 이를 ‘자구’라 하고, 자구 사이의 경계를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바닷물도 전세계 해수의 1%에 불과하지만, 이곳이 전지구적으로 연결돼 있는 해류 순환을 조절한다. 북극해가 차갑게 유지돼야만 기후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그런데 최근 북극에서 전 지구 평균보다 두세 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일년생 해빙은 물론 수 년간 단단하게 ... ...
- [과학뉴스] 3차원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성능 수천 배 높였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크게 끌어 올렸다.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빛의 위상을 조절해 홀로그램 영상을 만드는 공간광변조기의 성능을 보완해 3차원 홀로그램의 크기를 3배 이상, 시청 가능 각도를 10배 이상 확대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월 24일자에 발표했다.공간광변조기는 빛의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엽록체를 보호하고 광합성 효율을 조절하는 산화방지반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쿼틀리 리뷰스 오브 바이오피직스’ 2월 1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증상이었던 것이다. 이런 반응은 PLCγ1이 결핍된 흥분성 신경세포가 세포 내 칼슘 조절에 이상을 일으켜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 교수는 “조울증이 일어나는 기작에 대해 한 걸음 다가간 만큼, 향후 조울증에 대한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월 3일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박 교수는 “혈관 주위 세포 수를 조절하는 물질을 찾으면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노화는 유전적 요인이 30% 이하로, 나머지는 환경적 요인에 좌우된다. 박 교수는 “20세기에는 환경적인 요인 중 상하수도나 전기,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FACT B기후민감도를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태양의 복사량을 조절하는 구름이나 해빙과 관련된 물리 과정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기후민감도는 지역별로도 다르다. 일반적으로 저위도보다 고위도가 훨씬 더 민감하다. 수증기나 이산화탄소가 아닌 에어로졸 같은 기타 ... ...
- Part 1. 닭은 억울하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멜라토닌 : 송과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빛 주기를 감지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닭은 머리가 정말 나쁠까?흔히 머리가 안 좋은 사람을 닭에 비유해요. 닭의 머리는 정말 나쁠까요? 일반적으로 조류는 뇌의 용량이 작고, 뼈가 비어 있어요. 또 기낭이라는 공기주머니를 지닌 것이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농구를 하기에 적합한 의족등이다. 이들은 걸음걸이에 맞춰 자동으로 무릎의 각도가 조절된다. 심지어 가장 최신의 의족 중에는 개개인의 걷는 스타일을 자동으로 반영해 주는 것도 있다.하지만 현 시대의 최고 성능의 의족도, 최첨단 생체 공학으로 다시 태어난 남자를 그린 미국드라마 ‘600만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조 교수는 “광센서는 빛을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것으로, 나노 구조의 디자인을 조절하면 센서의 감도를 지금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광전기화학소자, 나노기술 신물질의 또 다른 여정4년째 접어든 두 사람의 만남은 아직 끝을 모른다. 조 교수는 “최근에 백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