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d라이브러리
"
좌우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커지고 거리가 멀어지면 작아진다. (C= , 가속도계의 전극 면적(S)과 유전상수(ε)는 일정).
좌우
뿐 아니라 앞뒤, 위아래 6방향의 가속도를 같은 원리로 측정한다.4. 센서 바(Sensor bar)센서 바의 양 끝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가 각각 5개씩 있다.LED는 테니스 게임을 하는 사용자 팔의 움직임을 추적할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스컬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걷는 동안에는 가슴이 위아래, 앞뒤,
좌우
방향으로 거의 같은 거리만큼 움직였다. 그러나 달리기 시작하자 위-아래 흔들림이 눈에 띄게 커졌다. 위아래로 흔들린 거리는
좌우
, 앞뒤로 흔들린 거리의 2배가 넘었다.재미있는 사실은 A~C컵 여성의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 알칼리성은 탄산에 의한 산성과 중탄산에 의한 알칼리성의 상대적인 농도 비율에 의해
좌우
된다 따라서 아시도시스는 발생 순서로 보면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아시아 대륙의 동부 아시아 · 남부 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에 걸쳐 여름과 겨울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반대로 나타나는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얕은 물에 사는 물고기나 갑각류를 잡아먹을 때는 무척 유용하다. 부리를 물에 담궈
좌우
로 휘젓다가 부리에 닿은 물고기를 얼른 잡아 먹는데는 끝이 뾰족한 부리보다 넓적한 부리가 안성마춤이다. 박 박사는 “최근 개체수가 급감한 저어새를 보고 원시적인 부리 형태 때문이라는 주장도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눈이 박힌 악어 두 마리가 목을 감싸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속이 텅 비었고 몸과 꼬리를
좌우
로 움직일 수 있게 세공돼 있다.허공에서 돌아가는 시침 분침까르띠에하면 빼놓을 수 없는 아이템이 바로 시계. 손목시계를 대중화시킨 것도 까르띠에다. 그래서인지 이번 전시에는 시계가 유난히 많이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일으키는 이들 단백질을 통제하는데 성공하느냐 여부가 앞으로 인류 삶의 질을 크게
좌우
할 전망이다.돌이켜보면 광우병과 인간 광우병은 소의 사료를 바꾸어서 초래한 인재다. 도축한 동물의 찌꺼기가 아까워 사료로 활용해 이득을 보려던 영국의 축산업자들은 소 200만 마리를 소각하는 혹독한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토양보다 높을 때 물과 함께 뿌리로 흡수된다. 양분은 식물의 건강뿐 아니라 맛까지
좌우
한다.대표적인 예가 쌀이다. 밥을 했을 때 윤기가 자르르 흐르고 찰진 쌀이 맛이 좋다. 그런데 질소(N)의 농도가 높은 토양에서 자란 쌀은 맛이 없고 품질도 떨어진다. 질소 성분이 벼에 흡수되면 아미노산으로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찾아 뇌혈관의 작동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뇌신경세포 운명은 혈관이
좌우
김 교수는 뇌혈관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100년 전에 그려진 한국화 한 폭을 꺼내들었다. 그림은 숭례문의 옛 모습이었다. 성곽 한 가운데 큰 숭례문이 있고 양 옆을 높은 벽이 둘러싸고 있다. 그는 성곽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체제를 가진 동물군
좌우
대칭동물과 함께 진정후생동물(眞正後生動物)에 속하며,
좌우
대칭동물에 비해 전진운동이 어렵다 인간환경 및 생물에 방사성 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과학 대기에서의 핵실험에 의해 잇따라 대량으로 강하된 방사성 강하물의 거동을 환경 속에서 추적함으로써 ... ...
시각장애인, 촉각기술로 글씨 쓴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기억해뒀다가 펜 움직임이 경로에서 벗어나면 반발력을 줘 움직임을 교정했다. 또한
좌우
이어폰을 이용해 수평 움직임을 지시하는 등 청각 정보도 동시에 제공했다. 그 결과 전혀 글씨를 쓰지 못했던 어린이들이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글씨를 쓸 수 있었다.국립대만대 추 하오후아 교수팀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