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찼지요. 다른 청소년 탐험가들도 자신의 도전기를 공유했어요. 이우혁 학생(세종 연양초)은 본인의 인공위성 ‘IM-2020’ 제작기를 들려주었어요. 자신이 사는 세종시를 지도로 만들기 위해 직접 프로그램과 소형 인공위성을 만들었죠. 이우혁 학생은 “마지막 발사에는 실패해 인공위성을 날리지는 ...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피아치가 이 궤도에서 새로운 천체 ‘세레스’를 발견했어요. 1801년 1월 1일, 피아치에게 초청장이 배달되기도 전의 일이었죠.피아치는 처음에는 세레스가 혜성이라고 생각했지만, 움직임을 보고 행성이라고 생각을 바꿨어요. 그런데 세레스의 궤도 가까운 곳에서 비슷한 소형 천체가 여럿 ...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되지 않았다. 약 1000년 전 백두산이 분화했다는 주장이 1990년대 초 처음 나왔고, 2000년대 초에는 백두산에서 화산지진이 처음 포착됐다. 화산지진은 뜨거운 마그마가 움직이면서 주변의 암석을 깨뜨리며 발생한다. 백두산이 활화산일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2017년 영국과 스위스 공동연구팀은 ...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봇이지만 종류에 따라 프로그래밍 방법이나 제어 원리가 완전히 다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웨어러블 로봇은 투박하고 거대했다. 당시 로봇 연구자들은 착용자가 생각한 대로 움직이는 웨어러블 로봇을 만들고자 했다. 사람은 로봇에 ‘탑승’만 할 뿐 로봇이 주체가 돼 움직이는 웨어러블 ...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DSP 칩, 배터리 등을 탑재해야 하는데, 그러면서도 가볍게 만들기가 쉽지 않았다. 초기 DSP 처리속도도 5ms 수준으로 느린 편이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DSP 칩의 크기가 작아졌고 배터리 성능도 개선되면서 노이즈 캔슬링도 최근에서야 빛을 발하게 됐다. 놀이공원에도 노이즈 캔슬링이?사실 노이즈 ...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러시아 연구진이 수행한 지상연소시험은 성공적으로 이뤄졌으나(연소 시간이 232초로 나로호와 동일하고, ‘사이클로그램’이라고 하는 엔진 운용 조건도 나로호와 동일했다), 데이터를 상세하게 분석해 보니 1단에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더라는 내용이 2009년 7월 30일 언론에 보도된 ...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피험자는 평소에는 재빨리 성냥에 불을 붙였지만, 둘째와 셋째 손가락을 마취시켰을 땐 25초나 걸렸지요. 실시간으로 촉감을 느끼며 손가락 힘과 각도를 조절해야 성냥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었던 거예요.하지만 로봇이 사람처럼 촉감을 느끼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에요.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모르게 크게 소리쳤어요.“야! 개! 코! 조! 수우우우!”“헤헤. 꿀록 탐정님 새해 목표가 12초 만에 무너졌네요.”“너~! 잡히면 가만 안 둬!”새해에도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의 귀여운 다툼은 끊이질 않네요. 둘이 한참을 투닥거리고 있을 때, 누군가 탐정 사무소의 문을 벌컥 열었어요!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용도로 등장했다. 현실1970년대 초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핵물리학자인 잭 커버가 최초로 전기 총을 개발했다. 1960년대 일어난 일련의 비행기 납치 사건으로 인해 비행기 내에서도 승객이나 항공기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총기 개발이 요구됐기 때문이다.커버 연구원이 만든 전기 총은 ... ...
-
- 흡혈박쥐가 전하는 새 친구 사귀는 꿀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연구팀은 이 흡혈박쥐에 센서를 달고, 파나마의 야생 고목으로 돌려보냈어요. 이 센서는 2초마다 흡혈박쥐들이 서로 가까워졌는지 측정하는데 그렇게 8일 이상 관찰한 결과, 실험실에서 우정을 쌓은 뒤 야생으로 나간 흡혈박쥐들은 서로 가까이 붙어 지냈답니다. 즉, 서로 힘든 상황에서 피를 나누며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