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족
d라이브러리
"
팔다리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로봇개발 10년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국내의 산업현장에 로봇이 등장한지 10년이 된다. 국산로봇개발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최근 국내에서 열리는 산업전시회를 가보면 반드시 국산로봇이 등장해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고있다.텔리비전이나 만화책에 나오는 것처럼 인간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한치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자연적으로 진화된 변화임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옷을 입고 바깥에서 활동할 때
팔다리
가 짧고 손발이 작을수록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부분도 그만큼 적어져 추위를 덜 느끼게 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그들의 신체적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이다.사냥을 위주로 한 북극지방토착민들의 전통적인 ... ...
신경통의 전모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신경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범인 디스크를 중심으로 원인과 대책을 알아보자.사람의 모발 손톱 발톱을 제외한 모든 신체조직에는 각종 신경세포와 신경섬유가 세밀한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 그래서 신체의 변화나 침입자(자극)에 대한 정보를 수집, 뇌에 전달한다. 또 통증(아픔)이란 경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본격화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민간요법으로서 파스를 조그맣게 잘라 경혈에 붙여 두통,
팔다리
저림 등의 증상에 효과를 보는 것도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어떻게 사용할 것인가현재 자력선 치료기를 제작하는 기업체에서는 끊임없이 자석의 힘을 건강과 치료에 응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이와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우리의 갓난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많은 능력을 부여받고 있다. 시력 청력은 물론 어른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는 특기도 있다. 약하디 약한 그들이 생존해나갈 수 있게 하는 버팀목은 무엇일까?소아과의사가 처음 신생아를 만나는 것은 분만실에서이다. 아기가 출산하기 이전에 아기에게 문제가 생기 ... ...
파킨슨씨병, 부신수질이식술로 치료에 성공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그러나 대다수의 약이 그렇듯이 엘-도파도 장기간 사용하면 심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즉
팔다리
의 무의식적인 운동과 약물반응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현상, 정신질환증상 초래 등으로 약물요법의 지속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이식거부반응이 적어약물이 안되면 결국은 수술로 눈을 돌릴 수밖에 ... ...
동상·저체온증·감기·낙상의 겨울철 4대질환 퇴치법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느린동작으로 움직인다. 노인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각 의사를 요청해야 한다.
팔다리
만을 따뜻이 하는 것보다 따뜻한 담요로 전신을 싸고 따뜻한 음료를 마시게 한다. 그러나 술을 마시게 해서는 안된다. 알콜은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신체의 중요한 부분을 더 차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1957년의 비밀 핵실험으로 전체가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버린「하이아이에이」군도에 초진화 생물인 진귀한 포유류가 살았음이 최근에 공개되었다.비밀 핵실험으로 사라져 지금은 전설의 섬이 된 태평양의 하이아이에이군도(Hi-Iay Islalnds).이 섬에서는 비행류(鼻行類)라는 기이한 동물이 살고 있었 ... ...
PART4 과학적인 종목선택이 스타플레이어를 낳는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지방을 체중의 20%이상 끌어올려야 한다. 이는 찬 물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
팔다리
길이도 중요하다. 예컨대 농구선수와 조정선수는 긴 팔과 긴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게 절대 유리하다. 반면 체조선수는 짧은 팔, 다이빙선수는 짧은 다리의 소유자가 적격이다.어깨와 히프의 넓고 좁음도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한다. 곰이 달리는 걸음걸이는 마치 신병훈련소에서 잔뜩 긴장한 훈련병이 같은 쪽
팔다리
를 동시에 앞뒤로 움직이는 모습과 같다.곰은 잡식성 동물이다. 하지만 주로 과일류와 나뭇잎의 새 싹을 즐겨 먹는 채식주의자이다. 산속 개울에서 가재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기도 하며 새들의 알 또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