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본 동북부 지각판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강진이 일어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여진의 울림은 계속되고 있다.한편 백두산 분출에 대한 우려도 높아가고 있다.하지만 지진과 화산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부족하다.지진과 화산이 일어나는 원리는 무엇이고이 둘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코너를 마련했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고립계에서 엔트로피가 줄어들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이런 일이 가능한지 오랫동안 고민해 왔다.이론적으로는 원자의 속도를 측정해 골라내는 ‘맥스웰의 도깨비’가 있다면 엔트로피가 줄어드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최근 이 가상의 존재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다고 제시된 ‘질라드 엔진’ ... ...
화학-원자핵 에너지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원자핵은 화학반응에서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핵은 변화할 수 있으며, 원자핵의 변화를 이용한 화학반응은 우리 생활 속에서 이용되고 있다. 대규모의 핵반응은 풍부한 양의 전기 동력을 제공하지만, 핵폐기물과 방사성 물질의 위험을 갖고 있어 원자력의 사용은 여전히 논쟁을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주변 바다의 ‘방사능 오염’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바다를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훼손한 것은 비단 방사성 물질만이 아니다. 크고 작은 기름 오염사고와 함부로 버리는 폐기물, 그리고 남획은 지금도 바다를 위협하고 있다.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바다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번 사고를 통해 사람들의 뇌리에 가장 깊이 각인된 단어는 ‘노심용융(core meltdown 또는 nuclear meltdown)’이라는 말이다. ‘냉각수에 잠겨 있어야 할 연료봉이 대기 중에 노출돼 액체 상태로 녹으면서 방사성 물질을 방출한다’는 정도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장면이 잘 상상이 되지 않는다. 과연 어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전기저항이 0이 된다." 이 단순해 보이는 현상 하나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 왔다. 아직 초전도 현상을 이론적으로 완벽히 설명하지 못했는데도 새로운 초전도 소재를 만들었다는 소식은 꾸준히 들려온다. 응용이 이론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서울은 큰 강과 멋진 산을 끼고 있다. 자연환경과 가까이 있어 봄을 즐길 만한 장소가 많다. 또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과학문화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백제가 수도로 삼았던 곳이고, 조선이 천도한 뒤 600년 동안 한반도의 중심이었다. 과학동아는 과학의 달을 맞아 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게임 지존, 서울대 가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하루에 게임을 10시간 넘게 하는 사람이 서울대에 갈 수 있을까? ‘하는 사람’은 어렵겠지만‘ 하던 사람’은 갈 수 있다. 게임을 그만두면 가능하다는 뜻이다. 게임 캐릭터의 레벨을 올리던 수고를 자기 자신의 레벨을 올리는 데 쏟아 서울대에 합격한 사람이 있다. 게임에 이별을 고하다“언젠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