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머리로 하트 무늬를 만들고 있어요. 검은 고니는 주로 호주에서 살고 있어요. 이 사진은 호주와 가까운 뉴질랜드의 로토루아 호수에서 찍었답니다. 자연을 느껴 보자어린이 여러분은 학원도 가야 하고, 숙제도 해야하고…. 하루하루가 너무 바쁘죠? 그래도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자연을 느껴 ...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테렌스 타오 교수이십니다~!”천재수학자와의 만남테렌스 타오 교수는 중국계 호주인으로 어린 시절부터 두각을 보인 천재수학자입니다. 그의 천재성은 어린 시절의 일화로 잘 알려져 있지요. 타오 교수의 아버지에 따르면 타오 교수는 2세 때친척들이 모인 자리에서 5세짜리 아이에게 수학과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등, 가축이 될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다.▼ 호주의 야생개 ‘딩고’는 4600년~1만 800년 전에 호주에 온 뒤야생으로 돌아가 지금은 가축이 아니다(왼쪽). 개들도 사람이 사라지면 1만 년 뒤에는 이런 야생개가 될지도 모른다. 북아메리카의 야생 들소 ‘바이손’은 1만 년 전에 건너왔지만 가축이 되지 ... ...
- 문어도 도구를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잘 알려져 있죠? 여기에 똑똑한 동물이 하나 더 꼽히게 되었습니다. 바로 문어! 최근, 호주의 빅토리아 박물관 연구팀은 인도네시아의 바다속에서 500시간도 넘게 해양생물을 관찰하고 촬영했어요. 그러다 코코넛문어가 코코넛 껍데기를 바닥에서 파내 이용하는 모습을 발견했지요. 코코넛문어는 ...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미국, 호주에서는 우리보다 더 강력하게 ‘멧돼지 무제한 수렵’을 허용하고 있다. 특히 호주는 야생돼지를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질병을 전파하는 유해동물로 규정해 독극물, 헬기, 포획 틀 등을 동원해 잡아들인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수렵의 한계를 지적한다. 넉 달이라는 한정된 시간 동안, ... ...
- 똥의 황홀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전해줄 것이다.‘똥’에 직접 현재의 얘기를 기록하는 방법도 있다. 케냐와 파키스탄, 호주, 태국 등지에서는 코끼리의 똥을 이용해 종이를 만든다. 코끼리는 하루에 200~250kg의 풀을 먹고 50kg 정도의 똥을 싸는데, 섬유질인 셀룰로오스는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배설한다. 그래서 코끼리 똥에는 ...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만든 드레스’도 있다.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자연농업과학과 게리 캐스 교수와 호주 에디트 코완대의 동시대 현대아티스트 도나 프랭클린은 마이크로비(Micro‘be’)라는 연구팀을 만들어 와인드레스를 개발하고 있다.그들은 아세트산균(Acetobacter xylinum)이 와인에서 발사믹 식초 원액을 만들 때 ...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빅 이어 망원경의 다른 장비로 동일한 구역을 훑었지만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 미국과 호주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통해서도 수색 작업이 이뤄졌지만 흔적을 찾을 수 없긴 마찬가지였다. 미국 세티 연구소의 세스 쇼스타크 박사는 그의 책 ‘우주생명 이야기(Cosmic Company-The Search for Life in the Universe ...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수학동아 l2009년 11호
- 나무를 먹이로 하는 흰개미는 나무로 만든 건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미국, 호주,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오래된 나무 건물이 흰개미의 피해를 받고 있어.피해를 줄이려면 흰개미가 어디서 살고 있는지 알아야 하겠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상희 박사팀은 수학을 이용해 흰개미가 ... ...
- 역대 이그노벨상 수학상 수상자수학동아 l2009년 11호
- 한 명도 없게 하려면 최소한 몇 장의 사진을 찍어야하는지를 연구한 팀을 선정했습니다. 호주의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의 피어스반스 박사와 과학저술가인 닉 스벤슨은 20명 이하의 사람이 사진을 찍는다면 밝은 곳에서는 사람 수를 3으로 나눈 수만큼, 어두운 곳에서는 2로 나눈 수만큼 사진을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