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고정이
가능
한 세포소기관을 가진 조류 브라루도스파엘라 비겔로위. 사이언스 제공 주간학술지 '사이언스'는 매년 끝에서 두 번째 호에(올해는 12월 13일자) 올해의 최고 과학 성과와 후보들을 소개한다. 모두 10개라 예전에는 '사이언스 10대 과학 성과'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런데 올해 최고로 뽑힌 ... ...
알츠하이머 원인 단백질 줄이는 유전자 교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효율로 질병의 원인을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알츠하이머병 외 다른 질병에 적용할
가능
성도 보여줬다. 24일 미국 일리노이대 어배너-샴페인 캠퍼스에 따르면 토마스 가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신 유전자 교정 도구인 '스플라이서'를 개발하고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생쥐의 ... ...
537광년 떨어진 태아별, 우주의 '천연 화학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저널 레터'에 공개됐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시공간 규모를 재구현하는 것이 불
가능
해 직접적인 실험을 통해 연구할 수 없다. 보통 이론적 수치계산을 통해서만 이뤄진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537광년 떨어진 태아별 B335 주변의 화학 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측해 생명 현상의 근간이 되는 ... ...
"의대 증원 2027년부터 해야 합리적…교육 파행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수험생은 구체화돼 있어 사회적 특단의 조치가 없으면 향후 6년간 의학교육은 파행될
가능
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의학교육 파행을 책임져야 하는 교육부는 올해 휴학생과 내년 신입생이 2025학년 이후 수련을 마칠 때까지 10년간 교육의 질을 보장할 합리적인 계획을 연내 제출하라”며 ... ...
피자 반죽처럼 날아가 달라붙는 부착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긴급한 상황에서의 위치 추적, 무선 모니터링, 구조 활동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
성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먼저 시속 60km로 주행 중인 차량 후면에 GPS가 탑재된 발사부착탄을 발사하고 부착해 실시간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도심이나 고속도로, 커브길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부착 ... ...
늘어나는 디스플레이 소재 변형, 색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같이 늘어나는 소재 기술 개발과 기존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전극, 센서 기술과 호환
가능
한 구조 설계 방식으로 나뉜다. 기존 스트레쳐블 기술은 서펜타인 구조가 끊어지는 등 물리적 손상이 발생한 후에야 변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설계와 분석을 이론적 시뮬레이션에 ... ...
"고차원 뇌 활동에 시간 더 많이 들어"…뇌기능 '시간적 스케일'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뇌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신경망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
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3일 게재됐다. - 10.1073/pnas.241569512 ... ...
우리 동네 80년 후 날씨 알고 싶다면…기후변화 상황지도 본격 운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기후변화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사회가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하고 지속
가능
한 사회로 나아가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상황지도는 기후변화 상황지도 사이트(climate.go.kr/atlas)에서 볼 수 있다 ... ...
줄기세포 행동 원격 제어하는 '수학적 모델링'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원격으로 제어하는 혁신적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 재생 치료와 조직 재생 연구에 새로운
가능
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자성 나노막대의 생체 내 안전성과 실시간 제어 특성을 활용해 다양한 세포의 정밀 제어 및 의료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 ...
[과기원NOW] UNIST, 접을 수 있는 다공성 나노 고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중요한 세포인 '가장자리 B림프구'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 패혈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
성을 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가장자리 B림프구는 체내 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몸속 혈액을 걸러내는 비장이라는 기관 내에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전남지역 지자체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