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뉴스
"
둘임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조일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뇌 신호를 읽고 신경세포에 자극을 동시에 주는 초소형 브레인칩을 개발했다. 조일주 책임연구원 제공 사람의 생각을 읽고 뇌 질환을 치료하는 다목적 뇌 임플란트 칩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기술을 좀더 끌어올리면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매년 산란계 병아리 140억 마리가 감별을 통해 절반(암컷)은 양계장으로 가고 나머지 절반(수컷)은 바로 죽임을 당한다. 최근 달걀감별 기술이 개발되면서 머지않아 병아리감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지도 모른다.eggXYt 유튜브 캡쳐 "우리가 동물에 대한 기계론적 견해를 갖고 있는 동안은 윤리에 ... ...
국내 연구진,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왜소신성이 탄생하는 과정의 상상도다. 먼저 '죽은' 별이 작고 어두운 백색왜성이 돼 상대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고, 이 물질로 빛을 내며 급격히 밝아진다. NASA 제공 우주에 존재하는 별은 태양처럼 홀로 존재하는 외톨이별보다는,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돌 듯 둘 이상의 별이 서로를 중심으로 도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브라질에서 GM모기를 방사하고 있는 옥시텍 연구원. Oxitec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올해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연구 13선을 소개하면서 ‘유전자 변형 모기 방사’를 꼽았다.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서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가 지난해 GM 모기의 방사를 승인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서 GM 모기 ... ...
21년의 집념이 낳았다… X선 장비 美·日서 ‘기술 독립’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이철진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13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캠퍼스 연구실에서 21년의 연구 끝에 자체 개발에 성공한 차세대 X선 발생 장치(냉음극 X선튜브)를 들고 있다. 기존 기술보다 효율성이 최대 100배 높다. 윤신영 기자 좌우명이 ‘우보천리(牛步千里·소의 걸음으로 천리를 간다는 뜻 ... ...
로봇 팔·다리 개발에 집중하는 세계 IT 기업들…산업 판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구글이 개발중인 '토싱봇(던지는 로봇)' 팔만 있지만 던지는 과정에 관여하는 물리학 법칙과 주변 환경의 영향 등을 인공지능(AI)을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고 정확한 동작을 스스로 취해 나간다. 구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2일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8월 ... ...
머리 둘 달린 악어 발견되었다?
팝뉴스
l
2019.08.13
팝뉴스 제공 최근 SNS에서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 잡으며 큰 화제를 일으킨 사진이다. 강가에 작은 악어가 나와 있다. 그런데 머리가 둘이다. 머리가 둘이 악어가 자연 속에서 생존하는 것이 가능할까. 해외 네티즌들은 놀라움과 의구심을 동시에 표현한다. 사진은 수년전부터 인터넷에 ... ...
“여기서 뭐 해요? “ 놀란 반려견의 눈
팝뉴스
l
2019.08.12
팝뉴스 제공 주인이 목욕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반려견이 달려왔다. 반려견의 저 눈빛을 어떤 의미일까. 사진은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었는데, 반려견 눈빛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둘로 나눈다. 먼저 “여기서 뭐하냐?”는 의미를 반려견 눈에서 읽을 수 있다고 몇몇 네티 ... ...
최기영 과기장관 후보자 "일본 수출 규제 대응 최우선 과제"(종합)
2019.08.09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장관급 인사를 교체하는 개각을 단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 내정된 최기영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청와대 제공 문재인 정부 2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받은 최기영(64)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9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 국가적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정재웅(오른쪽) KAIST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마이클 브루카스 미국 워싱턴대 마취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스마트폰으로 뇌 신경회로를 무선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충연(왼쪽)∙변상혁(가운데) 박사과정생도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 KAIST 제공 한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이 스마트폰에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