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숫자"(으)로 총 1,4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EC번호다. 특정 효소가 이뤄지는 생화학반응 종류에 따라 ‘EC 3.4.11.4’와 같이 총 4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이 번호를 통해 특정 효소가 어떤 종류의 생화학반응을 매개하는지 알 수 있다는 얘기다. 게놈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소 단백질 서열의 EC 번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면 효소 및 대사 관련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2019.06.27
- 아니라 그저 그렇고 그런 존재라는 겸손함을 가르쳐준 게 아닐까? 나는 저 해괴망측한 숫자들을 볼 때마다 이 우주의 원대함과 우리 인간의 보잘 것 없음을 느낀다. 뒤집어서 생각하면 이 우주에서 그렇게 보잘 것 없는 우리 인류가 이제는 여기까지 와서 이 우주 자체를 이만큼이나 이해하고 있으니 ... ...
-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리튬 금속배터리 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이는 튜브 다발의 밀도가 높아 표면적이 작아진 경우에도 부반응에 참여하는 리튬 이온 숫자가 그대로인 경우를 설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표면이 아닌 탄소나노튜브 내 각 다발이 이루는 내부 구조에 주목했다. 튜브 속 다발의 밀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며 그 구조에 따른 현상을 ... ...
- "원자력연, 방폐장 보낸 폐기물 5개중 4개 농도분석 엉망" 또 총체적 관리 부실동아사이언스 l2019.06.21
-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원자력연구원 측이 자진 신고한 945드럼보다 2배 이상 많은 숫자다. 비록 중저준위 폐기물이고 법적 허용치보다 낮게 나왔지만 폐기물 5개 중 4개꼴로 잘못된 측정이 이뤄진 셈이어서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큰 허점이 드러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지구 표면을 지나는 빛은 1미터 진행할 때 약 1경(1조의 만 배) 분의 1 정도 빛이 꺾인다(이 숫자가 어떻게 나왔는지는 나중에 일반상대성이론을 설명할 때 다시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광속을 이용해 1미터를 정확하게 정의하려면 상대성이론을 정말 잘 알고 있어야 하는 셈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예술가들은 손가락 비율 값이 보통 사람들 평균보다 작고 손가락 비율 값이 큰 아이들이 숫자에 비해 문자에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마디로 손가락 비율은 만병통치약인 셈이다. ‘사이언스’는 손가락 비율의 과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이라서 그런지 등장하는 과학자 다수가 ... ...
- 구글보다 뛰어난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언어모델은 AI가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축한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다. 언어를 숫자로 표현한 뒤 AI 기술의 일종인 딥러닝을 이용해 학습을 한다. 이 과정에서 어떤 단어가 특정 조건에서 얼마나 많이, 자주 나타나는지를 확률로 계산해 언어와 함께 모았다. 예를 들어 “날씨” 다음에는 ... ...
- [주말N수학] 반복 없이 색칠하기2019.06.08
- 뽑은 어떤 경로도 따라가면서 만나게 되는 색깔을 수열로 나타냈을 때 어떤 구간도 숫자열이 반복되지 않게 색을 칠할 수 있을까요? 만약 그렇게 색을 칠할 수 있다면 이를 ‘반복 없는 색칠’이라고 부릅시다. 반복 없는 색칠이 있다면 연결된 꼭짓점은 다른 색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연결된 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은퇴한다. 1956년엔 아무도 인간 염색체 갯수에 관심이 없었다. 유전학의 발전에서 염색체 숫자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효모 유전학이 빠르게 발전하던 시기를 지나 1985년이 되어야, 효모의 염색체 갯수가 결정되기도 했다. 혹자는 말한다. 만약 치오의 발견이 없었다면, 인간 ... ...
- 공존현실, 신약개발, 바이오매스···세계 1등 기술개발 주춧돌 놓다2019.05.31
- 585개를 등록했다. 기술 이전은 69건, 사업화는 11건 달성했다. 연구단의 한 연구자는 “숫자로 보는 성과도 크지만, 관련 분야 인력을 키워 곳곳에서 활약하게 한 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성과였다”며 “연구단을 거쳐 간 많은 인재들이 해당 분야를 발전시키는 훌륭한 밑천이 됐을 것”이라고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