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뉴스
"
영화
"(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광통신망으로 10배 빠른 인터넷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5Gbps급 인터넷의 핵심 기술 '틱톡'을 개발해 27일 공개했다. 25Gbps는 1GB(기가바이트) 분량의
영화
세 편을 1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속도다. 지연 시간이 거의 없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어, 초고속 인터넷망과 증강현실, 원거리 로봇 제어 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 ...
신비로운 원자로 내부 모습
팝뉴스
l
2018.11.26
국립 실험실’이 공개한 사진인데 대단히 신비롭다는 반응이 많다. 일부 네티즌들은 SF
영화
의 한 장면 같다고 말한다. 먼 미래 먼 행성에 세워진 도시 같다는 것이다. 인간에게 큰 혜택을 주는 동시에 사고가 나면 대재앙일 수도 있는 기계 장치가 이렇게 매력적일 수 있을까. 해외 네티즌들이 ... ...
[암호기술 혁명]⑥통신·미사일·전력망... 軍보안기술 삼박자 맞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알아들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미사일 해킹 위험 낮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에는 미사일이 발사된 뒤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 다급히 미사일에 공격 취소 명령을 전송해 일촉즉발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실제로 최근 미사일 기술은 통신을 이용해 제어한다. DARPA는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000년대 초반만 해도 생체인증 기술은
영화
속 이야기였다. 특수한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나 지문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몇 년 지나지 않아 지문인식 기술은 스마트폰과 사무실 출입 관리 시스템 등 일상생활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손바닥 정맥을 인식해 신원을 확인하는 ... ...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기자 enhanced@donga.com “
영화
공각기동대를 보면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화
속 이야기지만 현실에도 비슷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바로 ‘뇌-컴퓨터 연결기술(BCI)’입니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는 21일 서울 JW메리어트 호텔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18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출연이 금지되었기 때문입니다.
영화
《파리넬리》가 바로 카스트라토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입니다. 이차 성징을 겪어야만 남성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의 목소리를 흉내 내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남성적인 목소리를 매력적으로 느끼는 이유는, 단지 그런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Romilio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한국에서 발견됐다. 랩터는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 날렵한 몸짓과 지능적인 무리 사냥을 선보인 ‘벨로시랩터’ 등이 속한 소형 수각류 육식공룡이다. 정식명칭은 달리는 도마뱀이라는 뜻의 ‘드로마에오사우루스’다. 김경수 진주교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같은 인프라가 없을 때 심정이 이럴 것이다. IPTV 업체에서 UHD
영화
를 공급한다지만 TV로
영화
를 별로 보지 않는 필자로서는 별 위로가 못 됐다. 그런데 다음날 인터넷에서 UHD에 대해 알아보다 어이없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지상파들이 이미 지난해 5월부터 UHD 영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송출하고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않았다. 그러나 좁은 대역의 신호만을 분석했고 아직까지 분석은 계속되고 있다. SF
영화
'스타트렉'처럼 전파가 아닌 공간전송을 시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있다. ▲외계생명체가 있다면, 그들이 수백만년에 걸쳐 오무아무아를 보낸 이유는 무엇일까. =모른다. 한 가지 가능성은 특정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영사기 밑에서 넣은 세포의 구성요소들은 빛을 받아 스크린 위에
영화
장면이 비치듯 암흑을 뚫고 크게 확대돼 주변을 비추고 있다. 최근 과학계는 세포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에서 시작해 세포 하나를 완성해나가며 생명체의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는 ‘상향식(Bottom Up·보텀업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