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5개 행성 한 자리에 모이는 ‘오성결집’을 아시나요
2015.05.08
차원에서 연구팀을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로 창립 24년이 된 한국아마추어
천문학
회는 1998년 우리나라 최초로 소행성을 발견해 ‘통일’이란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 ...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의 향연
2015.04.27
3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 수상작.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천문학
대중화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개최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 결과가 26일 발표됐다. 대상은 오리온자리 중심부를 촬영한 장승혁 씨가 차지했다. 장 씨의 작품은 2014년 10월 28일에 강원도 철원 수피령에서 ... ...
남달랐던 티벳 고원의 형성 과정
2015.04.26
파헤쳐온 허블 우주망원경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 1990년 4월 24일 발사된 뒤 25년간
천문학
연구의 지평을 넓힌 허블 우주망원경의 공로는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지금까지 100만 장 이상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전송했고, 1만2800건이 넘는 논문에 자료를 제공했다. 특히 누구나 아름다운 ... ...
24시간 외계행성 찾는 ‘3개의 눈’ 완공
2015.04.24
한인우 한국천문연구원장은 e메일을 통해 “한국과 칠레 정상회담에서도 양국 정상이
천문학
분야의 협력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나타냈다”면서 “칠레는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 경험을 높이 평가하면서 한국과의 협력을 크게 기대하고 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이 자리에는 최양희 ... ...
가장 무거운 별 후보, 태양질량의 256배…‘괴물 별’
동아닷컴
l
2015.04.21
밝혀졌다. 세 별의 질량은 모두 태양질량의 100배를 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돼
천문학
자들의 관심도 줄었다. 현재 발견된 별 중에서 가장 질량이 큰 별은 대마젤란은하 내에 있는 R136 성단 안에 있는 R136a1이다. R136a1은 R136 성단에서 가장 큰 별이다. 이 별은 극대거성이자 울프-레이에 별(Wolf-Rayet ... ...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김순욱 연구원에게 2007년 이후 VLA 2의 분출물을 계속 추적하자고 제안했고, 세계 최고의
천문학
자들로 구성된 ‘드림팀’을 꾸렸다. 7개국 12명이 드림팀에 합류했다. 김순욱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2013년 논문을 더욱 자세히 재증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면서 “앞으로 학계에서는 ... ...
2년 전 러시아 충돌 운석, 여전히 미스터리
2015.02.17
첼랴빈스크 주 전역에서 운석 찾기에 나섰고, 600kg가량을 거둬들였다. 이 운석을 토대로
천문학
자들은 너비가 2km에 이르는 운석 ‘1999 NC43’을 첫 번째 ‘용의자’로 지목했다. 하지만 비시누 레디 미국 천체과학연구소 박사는 15일 우주 전문 뉴스사이트 ‘스페이스닷컴’과의 인터뷰에서 “1999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상공에 띄워 둔 우주관측용 인공위성 망원경이다. 유럽 연구진은 지난 해 9월 과학저널 ‘
천문학
&천체물리학’에 논문을 싣고 미국의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미국의 연구성과는 짐짓 중력파와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별과 별 사이 넓은 공간에 희박하게 존재하는 우주먼지(star dust) 때문에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
2015.02.01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유명한 과학 블로거이자 팟캐스트 진행자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
천문학
연구소에서 소행성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번역은 파리 3대학에서 불문학과 독문학을 공부한 전문 번역가. 번역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김찬현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 출신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
2015.01.25
등이 실렸다. 이밖에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1000개 이상의 주요
천문학
사건을 보여주는 연대표도 함께 볼 수 있다. 살림 제공 ◆청소년을 위한 수학자 이야기 (모리 쓰요시 著, 살림 刊) 무엇이든 쪼개고 또 쪼개는 미분 방정식을 보면 이를 연구한 뉴턴은 왠지 깐깐한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