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보
뉴스
비평
보도
논설
내용
기술
스페셜
"
기사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해봤는데 정말 논문이 ‘줄줄이’ 쏟아져 나왔다. 또 2012년엔 3쪽에 걸친 인터뷰성
기사
가 실렸고(‘네이처’가 한 과학자를 집중 조명하는 건 1년에 몇 차례 안 된다) 2013년엔 ‘생물학의 최전선’이라는 특집에 사사이 박사 단독 저자인 9쪽짜리 리뷰논문이 실리기도 했다. 십년 쯤 뒤 ... ...
[채널A] 수학자 vs 프로
기사
, ‘수 싸움’ 누가 더 강할까
채널A
l
2014.08.21
프로
기사
가 전 세계 수학자 25명과 1대 5로 대국하는 다면기를 벌였습니다. 결과는 프로
기사
쪽이 21승 1무 3패. 수학자들이 완벽에 가깝게 패했습니다. [인터뷰] 폴 헤이겔스타인 / 미국 베이어대 수학과 교수 “경기 중간 ‘안형(眼形)’을 만들면서 실수를 했는데 곧바로 코너에 있는 돌들이 모두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1202명 감염돼 673명이 사망했다고 한다(8월 3일 현재 명 1440감염, 826명 사망). 그리고
기사
중간에 에볼라가 처음 발생한 건 1976년이라는 내용이 나온다. 에볼라가 바이러스 질병이고 치사율이 90%에 이르는 무시무시한 병이라는 정도만 알고 있던 필자는 ‘40년이 다 돼 가는데 세계 보건 당국은 뭘 하고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밝혀졌다. 그럼에도 뇌전증 환자의 30% 정도는 약물이 듣지 않는다고 한다. 특집의 한
기사
에는 뇌전증에 걸린 딸을 둔 한 엄마의 사연이 소개돼 있는데 놀라운 모정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찌감치 결혼을 한 트레이시 딕슨-살라자는 딸 사바나가 두 살 때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기 전까지는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
과학동아
l
2014.07.22
8년으로, 북한에서 전문학교 이상 학교를 졸업해 대학교수, 과학원 연구사, 산업체 현장
기사
등을 지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조사 응답자의 60%는 ‘10년 이내 남한에서 동일계 직업을 못 구할 것’이라고 예측해 대부분 남한에서 과학기술인으로 다시 살아갈 희망을 포기하고 있었다. 전체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신문 건강면에 ‘글루텐이 장(腸) 염증 일으켜 온갖 병 원인 된다’라는 단정적인 제목의
기사
가 실리기도 했다. 그렇다면 글루텐이 왜 문제가 될까. 지금까지 이론에 따르면 밀가루 음식을 먹었을 때 글루텐이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채 소장 점막에 남아 면역계를 자극해 염증을 유발한다고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이들과 뜻이 맞는 환자들은 치료 대신 상태를 지켜보는 길을 택하고 있다고 한다.
기사
는 유관상피내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는 미국국립유방암협회 프란 비스코 회장의 말을 인용하면서 끝나는데 상당히 무책임하다. “비스코는 유관상피내암 진단을 받고 어떻게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앞서 ‘사이언스’ 2013년 11월 22일자에도 동물실험의 문제점에 대한 3쪽짜리 장문의
기사
가 실렸다. 가장 큰 문제는 실험동물이 임의로 선정되지 않는 것과 개체수가 너무 적어 통계적으로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것. 예를 들어 환자임상의 경우 ‘맹검법’이라고 해서 환자는 물론 의사도 누가 진짜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이미 고안하고 있었을 만큼 전신기를 연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 제일의 전신
기사
타이틀은 에디슨 시대의 서막을 알려주는 징조에 불과했다. 그가 첫 번째 특허를 얻은 것은 1869년 ‘전기 투표 기록기’이다. 투표기 자체는 나무랄 바 없었지만 의회에는 ‘시간 끌기(filibuster)’라는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초반이나 중반까지 수학적으로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언젠가는 프로
기사
수준의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 제작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다가는 컴퓨터가 스스로 수학을 연구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