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스페셜
"
별
"(으)로 총 857건 검색되었습니다.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인과관계가 미묘해 이에 대한 정보가 있어도 환자는 물론 의사도 판단을 내리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1994년 17번 염색체에서 유방암 유전자 브라카1(BRCA1)이 처음 발견된 이래 지금까지 20여 가지의 유방암 관련 유전자가 발견됐다. 그러나 여전히 유전성 유방암의 절반을 설명할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개발된 피알루리딘은 생쥐는 물론 쥐, 개, 원숭이 등을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는 특
별
한 부작용이 없었다. 그런데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2상 시험에서 급성 간손상이 일어나 5명이 죽고 2명이 간이식을 받는 사고가 일어난 것.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연구진들은 인간화된 간세포를 지닌 ... ...
따루와 박석재의
별
밤 오디세이 [제4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얽힌 과학 이야기부터 온갖 분야의 잡담까지 깨알 같이 쏟아내는 두 MC의
별별
이야기! 제4편에서 확인해보자.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서영표 sypyo@donga.com 이해석 shipda@donga.com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동차를 만들다
KOITA
l
2014.04.17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 ‘뭐,
별
거 있겠어?’ 이렇게 생각한 홍 박사는 NFB의 요청에 응하기로 했다. 이미 자율주행 자동차를 만들었으니 그 안에 시각 장애인 한 명만 넣으면 끝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가 잘못 짚었다는 게 ... ...
[만화] 야구의 꽃, 홈런이 탄생하기까지
KISTI
l
2014.04.17
있도록 해주는 ‘중측두피질(MT)이라는 부위가 있단다. 대부분 홈런 타자는 이 부위가 특
별
히 발달해 있는데, 아주 짧은 시간 안에 공이 어떻게 날아올지 예상하고 정확하게 배트를 대서 홈런을 만들어내지.” “거 봐요. 연습해도 안 된다니깐.” “하지만 근육을 자주 쓰면 발달하듯 뇌도 많이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주장했다. 그러면서 ‘손을 쓰는 사람’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호모도 아닌
별
도의 속을 부여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우드는 2012년 호모 루돌펜시스 화석 추가 발견 보고 논문에 대한 해설을 아래와 같은 글로 마무리했다. “예측컨대, 리키와 동료들이 호모 하빌리스를 기술한지 100년이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의 지표에서 바라본 고리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불과 250킬로미터 상공에 펼쳐져 있다. 멀리 빛나는 천체는 태양이다. - ESO 제공 보통 비슷한 특성을 지녀 ... 엄폐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린 커리클로와 두 고리. 뒤의 점선들은 망원경에 따라 배경
별
이 지나간 자리다. - 네이처 ... ...
[채널A] 빌 클린턴 “
별
에서 온다고 놀라진 않을 것”
채널A
l
2014.04.07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했는데요. 과학자들이 지적하는 외계인의 존재 확률은 일반인의 상상을 훨씬 뛰어넘고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상과학 영화에나 등장하는 외계인의 존재가 다시 한 번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빌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외치의 DNA분석을 의뢰받고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해독했다. 외치의 게놈은 현재 유럽인과
별
차이가 없었다. 5300년이면 불과 250세대 정도이므로 예상했던 결과였다. 러시아 알타이산맥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인류(여자아이)의 손가락 뼈. 이 작은 뼈에서 얻은 불과 30밀리그램의 시료에서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세세히 기억한다는 것. 예를 들어 이런 것이다. “1999년 3월 28일 일요일에는 특
별
한 사건은 없었지만 그날 역시 기억할 수 있다. 어머니와 함께 엔치노 글렌 카페에서 아침을 먹었다. 나는 스크램블 에그를 시켰고 두통 때문에 머리가 좀 아팠다.” (‘모든 것을 기억하는 여자’ 57쪽) ●망각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