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각
싯점
때
어떤 특정한 때
순간
스페셜
"
시점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건 한참 뒤의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 배터리의 교체
시점
에서도 때로는 용량이 꽤 남아있으므로 이를 바로 해체하는 게 아니라 그리드(grid) 시스템 등에 한동안 사용한 뒤에 재활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본질적인 해결책은 코발트를 쓰지 않는(cobalt free) 양극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발견되지 않아 아직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라며 “현생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시점
이 최근 앞당겨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현생인류가 6만 4000년 전 이미 유럽에 존재했을 가능성 역시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배 교수는 “다만 예술이 4만~5만 년 전에 갑자기 탄생했는지 혹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665마리가 추가됐다. 게다가 이 기간 동안 867마리가 다른 실험을 위해 희생됐다. 즉 그
시점
이전까지만 사망률 통계에 포함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나이가 적을 때 사망률이 더 많은 개체에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더 크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1986). 또한 사람마다 슬픔을 겪는 ‘패턴’이 다르다고 한다. 흔히 슬픈 일이 발생한
시점
에 가장 큰 충격과 슬픔을 겪었다가 점차 슬픔이 사그라드는 패턴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일반적이라고 여겨지는 패턴은 생각보다 흔치 않다는 보고가 있었다(약 10%). 205명의 기혼 커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호모사피엔스가 정점에 도달한 지금 오히려 인류의 퇴행을 걱정할
시점
이라고 우려했다. 즉 21세기를 인류세(anthropocene)라고 부를 정도로 인류의 활동이 지구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그 부메랑이 인류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온실가스배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설치해 저서어류들이 이곳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다. WTO의 보고서가 공개된
시점
에서 60일 이내에 당사국은 상소를 할 수 있다고 한다. 후쿠시마 주변 수산물의 전면 수입금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부유어에 한해 수입을 허용하는 차선책을 제시하는 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react)’하지 말고 ‘대응(respond)’하라는 말이 있다. 나쁜 일이 우리를 흔들게 되는
시점
은 그 일이 발생한 직후가 아니라 이후 그 일을 우리가 마음 속으로 프로세스하는 도중이며, 같은 일에도 사람마다 서로 다른 대응을 보이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나쁜 일이 그 자체로 우리를 흔든다기보다 그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전과 후의 행복도를 비교해보았다. 그랬더니 휴가가 사람들을 가장 행복하게 만들었던
시점
은 휴가를 갔다온 후가 아니라 가기 ‘전’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떠나기 전 휴가에 대해 계획하고 기대/상상하던 때가 제일 행복하고 막상 휴가를 가서는 약 14%의 사람들이 휴가가 스트레스였다고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대변 속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건기에서 우기로 넘어가는
시점
에 장내 미생물 중 비만을 억제하는 균인 ‘박테로이데테스’의 70%가 사라졌다. 먹는 음식이 육식 위주에서 섬유질이 풍부한 채식 위주로 바뀌면서 비만 억제 균의 일부가 사라진 것이다. 사라졌던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600년 전이라는 분석을 내놨기 때문이다. 클로비스 문화가 생겨난 지 1000년이나 지난 뒤의
시점
이다. 그 뒤 대두된 가설은 태평양 해안을 따라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다는 내용이다. 인류학자와 과학자들은 현재 팀을 이뤄 태평양 지역의 옛 만과 하구 지역을 탐사하고 있다. 인디언들이 이동할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