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박병국 KAIST
교수
팀, 반도체 소재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2
공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1일 이재영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와 최진섭 인하대
교수
연구팀이 리튬 이온배터리의 열화를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배터리 열화는 배터리 수명 단축의 원인으로 꼽힌다. 폐배터리의 재사용 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보다 출제 의도가 더 중요해진 수능
2021.12.22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 ...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연합뉴스
l
2021.12.21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의대 Kash Lab. 재판매 및 DB 금지] 츄
교수
팀은 오래전부터 미생물과 신경ㆍ면역계의 상호작용을 연구해 왔다. 앞서 다른 병원성 세균에 관한 연구에선 박테리아가 뉴런의 신호를 바꿔 통증을 증폭한다는 걸 확인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세균이 ... ...
청바지 염료로 대용량 배터리 수명과 안전성 둘 다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
와 이동욱
교수
, 싱가포르 난양공대 이석우
교수
연구팀은 21일 청바지에 사용하는 프러시안 블루 염료를 배터리 분리막에 코팅해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배터리 분리막은 배터리의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막으로 ... ...
코로나19 가볍게 앓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연합뉴스
l
2021.12.21
유전자 조작 생쥐를 실험 모델로 쓴 이유가 여기에 있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플라벨
교수
는 "평범한 실험실 생쥐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하면 감염은 되지만 심각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면서 "하지만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유전자 조작 생쥐는 감염증을 일으켰고, 면역계 전체에 강한 ... ...
소행성 '류구' 시료 첫 실측 결과 더 검고 공극률도 컸다
연합뉴스
l
2021.12.21
0.03~0.09의 알베도를 보인다. [JAXA 제공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파리-사클레대학 조
교수
세드릭 필로제가 이끄는 연구팀은 별도 논문에서 '우주천체물리학연구소'의 초분광 현미경 '마이크로메가'(MicrOmega)를 이용해 시료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근적외선 영역(0.99∼3.65㎛)의 ... ...
[과기원은 지금]형광 염색없이 분자 정보 보는 현미경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개념도. KAIST 제공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팀은 20일 형광 염색 없이 분자 정보를 볼 수 있는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현미경 기술은 형광 표지 없이도 형광 현미경의 특이적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홀로그래픽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의 장점만을 갖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전세계 백신·항체치료제 오미크론 변이에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심각도를 잘못 판단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마리오 로셈블라트 칠레대학 면역학
교수
는 “전염성이 크면 감염자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의료 시스템이 결국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브라질 당국은 모든 사람에게 추가접종을 권고하고 있으며 추가접종 백신으로 화이자 ... ...
한달 반만에 일상회복 멈춤...전문가들 "의료 응급현장에 대한 현실적 대책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만으로는 코로나19 확산세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는 "일찍 위드코로나를 시작한 국가들은 (자연면역으로 인한) 항체 형성율이 한국의 3~10배"라며 "우리에게 앞으로 남은 피해가 이만큼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2만5000명의 중환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 ...
해외 전문가들 "오미크론, 델타 변이보다 입원 위험 낮다고 보기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수가 늘어날 수 있어서다. 마크 울하우스 영국 에딘버러대 의학및수의대 어셔연구소
교수
는 "오미크론 변이는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개개인에게는 위중증화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집단으로 보면 여전히 크다"며 "공중보건체계에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이전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