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성능 연료전지 촉매 탄화입자 개발한 김범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고성능 연료전지 에너지 소자를 개발하는 데도 성공했다. 관련 연구는 지난해 7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환경과학’에, 2019년 8월과 지난해 5월 ‘미국화학회지’에도 소개됐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성능과 내구성, 가격 요건을 갖춘 고성능 연료전지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데 의의가 ... ...
코로나19 중증 환자, 줄기세포 치료했더니 생존률 91%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환자에게 투입한 결과 생존율과 완치율을 모두 높였다는 임상 연구결과를 이달 5일 국제
학술
지 ‘줄기세포 중개의학’에 발표했다. 탯줄에서 얻을 수 있는 중간엽 줄기세포는 수정란이 분열해 생긴 중배엽으로 다른 조직으로 분화하는 세포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면역세포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아교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시기에 별아교세포가 불필요한 시냅스를 먹어치워 없앤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2013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에 연구팀은 녹색과 적색 형광단백질을 이용해 성인의 뇌에서 시냅스가 어떻게 제거되는지 조사했다. 시냅스가 산성에서 재빨리 분해되면 녹색 형광단백질을, 천천히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윤진호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8월 한국에 강풍을 몰고왔던 태풍과 9월 미국 오리건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관 ...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지구물리회보’에 지난해 12월 8일자에 게재됐다. ... ...
액체금속을 전자소자 배선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통해 고전도성과 점도성을 확보한 액체금속 마이크로입자 금속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월 4일자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액체금속 마이크로입자의 산화막에 수소 이온을 도핑해 산화막을 전도체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먼저 산화막의 전도성을 ... ...
호주는 왜 코알라에게 피임법을 썼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램지 호주 아서 라일라 환경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국제
학술
지 ‘생물 보존(Biological Conservation)’ 1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호주에서는 지역에 따라 코알라의 개체 수에 편차가 커 골칫거리였다. 동부의 뉴사우스웨일스주와 퀸즐랜드주에서는 코알라가 멸종위기종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나오는데 아직은 먼 얘기다. 그래도 질감 연구가 최근 꽤 발전하고 있다. 지난해 4월
학술
지 ‘네이처 음식’에 실린 논문에서 세포고기 질감 연구의 최전선을 엿볼 수 있다.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슐라미트 레벤버그 교수팀은 조직콩단백질을 틀로 이용해 세포고기를 배양하면 질감을 크게 ... ...
판다의 인기가 반달가슴곰을 터전에서 밀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연구팀은 판다 보호로 표범과 늑대 같은 육식동물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생태 및 진화’에 발표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와 2000년부터 2018년 사이 개체수를 분석한 결과 표범은 81%, 눈표범은 38%, 늑대는 77%, 아시아들개는 95%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 ...
[랩큐멘터리] 몸속 번개로 암 조기에 발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개발하고 ‘네이처 나노테크놀러지’에 발표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빛:과학과 적용’에 피부속 복잡한 혈관이나 림프관, 각종 암 등을 깊고 뚜렷하게 시각화하는 초고해상도 영상기술을 발표했다. 생체 광음향 의료영상 연구실은 광음향 기술로 조기에 암을 ... ...
당신이 얼마나 아픈지 누구나 이해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유발하는 뇌 속 신호를 이용해 통증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를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신’에 이달 5일 공개했다. 몸이 얼마나 아픈지 다른 사람이 헤아리기는 매우 어렵다. 통증을 수치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통증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 ...
이전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