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기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많은 전력, 전기에너지가 나올 수 없다. 다만 많은 전류를 유발하는
작은
전압을,
작은
전류를 유발하는 큰 전압으로(또는 그 역으로)전환할 수 있다.8.(3) 변압기에서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해 철 내부의 자기장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자기장의 변화는 2차코일에 전류가 ... ...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졸업과 동시에 일류회사의 입사지원서를 들고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동료들을 보면서
작은
동요도 있었다. 그러나 나는 기술인의 길을 가기 위해서 조그마한 중소기업체에 취직, 후배들에게 기술을 전수했다. 그리고 산업현장의 기술을 직접 연구하면서 한편으로는 기술사의 조기 취득을 목표로, ... ...
유전자 연구계획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화학반응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각각의 화학반응은 수십 또는 수백의 보다
작은
단위(아미노산)로 구성된 커다란 복합분자인 효소에 의해서 조절되어 지는데, 아미노산에는 사슬로 배열된 20가지 종류가 있다. 만약 한개의 아미노산이 그 자리에서 일탈되거나 다소 변형되면 효소의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그리고 알맞은 높이에서 사냥감을 기다린다. 대개는 나무 밑을 달려가는 비교적
작은
짐승의 몸위에 떨어지는데 꽤 큰 동물일 경우에는 동물의 몸이 나뭇가지를 스칠 때 그 몸에 찰싹 달라붙는다.그런데 눈이 없는 진드기가 어떻게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까? 잠복할 나무로 올라가는 길목을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삼중수소 역시 바닷물에 있는 리튬으로 부터 쉽게 얻을 수 있다. △핵융합로 안의 연료는
작은
양씩 주입되므로 오작동시, 플라즈마가 용기벽을 때리고 냉각되는 것으로 끝나므로 매우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화석연료나 원자력발전과는 달리 사용후 폐기물이나 공해가 없다. △핵융합의 산물은 ... ...
우리의 실정은 어떠한가? 신물질이 탄생 되기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대단히 다양하기 때문이다.생체활성물질을 추적한다미생물은 단세포로 이루어진 아주
작은
생물체이며 어떤 경우엔 우리에게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자연계의 원소순환 및 생태계 보존에 큰 역할을 하며 또한 우리에게 유용한 물질을 제공해주는 필수적인 생물체이다.이런 미생물은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미숙아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말한다. 폐에서는 산소가 몇천개나 되는
작은
폐포에서 막을 통하여 모세혈관으로 들어간다. 이런 산소수송은 미숙아의 미성숙한 폐로는 불가능하다. 그것은 모세혈관 사이의 연락이 아직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숙아는 모세혈관이 많이 ... ...
지진 The Earth Trembles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없다. 지구는 지질학적으로 살아있다. 지각은 여섯개의 커다란 판(대륙)과 몇개의 보다
작은
육지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은(매우 느리긴 하지만) 계속 서로서로에 대항하여 움직이면서 커다란 왜력(歪力)을 만들어 내고 있다. 결국 이 왜력이 마찰력보다 커지면 판(대륙)이 조금씩 미끄러지면서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펄스로 이루어지고 있다.신경축삭에 접할 수 있도록 굵기가 몇 미크론 정도의 아주
작은
텅스텐 전극을 조심스럽게 삽입하고 그 끝을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전류관측용장치)에 접속하면 전기펄스열의 전압파형(波形)이 그대로 브라운관에 나타난다.신경축삭은 말하자면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년부터는 연구비 지원이 중단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6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우리가 거둔
작은
성과들 중 하나는 출혈열환자 다발생 지역인 연천 근처에서 잡은 들쥐 중에 유행성출혈열의 보균동물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나는 경기도 연천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들쥐를 잡은 동물채집원이 ... ...
이전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