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d라이브러리
"
지구도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에서 가장 가벼운 에어러겔 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이 에어러겔을 분사하면 1백g짜리 동전쯤은 쉽게 끌어 올 수 있다.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의 아론 헌트는 그것을 '사랑스런 구름'이라고 부른다. 다른 사람들은 고체연기라고 하지만. 이름이 무엇이든 간에 에어러겔(aerogel)은 실험실에서 생겨 난 것 중 가장 기이한 형태의 하나다.그것은 쉽게 ... ...
메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이라크사태이래 사분오열(四分五裂) 돼 있는 아랍세계. 그러나 사우디에 위치한 이「성도」(聖都)를 향한 순례는 끊임없다.메카(Mecca)는 이슬람교의 창시자인 무함맛(흔히 마호멧이라고 한다.) 이 탄생한 곳이다. 전세계 이슬람신자(무슬림이라 부름)가 일생에 한번 이상은(이슬람 달력으로 둘-히자 ... ...
북경 IMO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중국이 1위 우리나라는 32위 처녀 출전한 북한은 19위를 차지했는데…국제수학올림피아드(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약칭 IMO)는 세계 각국의 중등학생들이 수학재능을 겨루는 경시대회다. IMO의 규약에 따르면 그 주된 목적을 '대학교육을 받기 이전의 학생들 중에서 수학적 재능이 있는 학생을 발 ... ...
하늘의 변덕을 헤아리는 불침번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오늘날 모든 기상학도에게는 방대한 데이터를 소화해 내기 위한 컴퓨터 지식이 필수로 요구된다.갑자기 하늘이 어두워지며 굵은 장대비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이 비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은 천차만별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문득 대기과학을 공부하는 나는 어떤 시각으로 빗방울을 보아야할 ... ...
절정에 이른 태양연구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태양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요즘을 연구의 최적기로 보고 있다. 11년 주기를 갖는 흑점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흑점수와 자기(磁氣)활동, 그리고 태양의 자전 및 대류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태양활동이 주기성을 갖는 이유를 알아내려고 한다.지금까지 관 ... ...
톱쿼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미국의 페르미 연구소는 가정된 이론을 모두 만족시키는 톱쿼크의 발견을 눈앞에 두고 있다.미국 입자물리학계의 중심연구기관인 페르미 연구소는, 아직 실체를 확인하지 못한 t쿼크(top quark)를 발견할 기회를 곧 맞을듯하다.지금끼지의 입자가속기는 t쿼크를 발견하는데 실패했다. 그것은 질량으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미·일중심의 전통적 과학기술협력단계에서 소련 중국 유럽 개도국의 비중이 높아지는 다변화시대로 접어들고 있다.과학계에 국제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기초과학의 원년'을 주창했던 과기처가 올해에는 해외과학기술교류를 최대의 중점사업으로 표방하고 나섰고, 대통령의 일본방문과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여름철 밤하늘의 장관, 은하수를 따라 견우성과 직녀성이 포함된 백조 독수리 거문고 자리를 관찰하는 즐거움을 맛보자.무더운 여름철, 시원한 바람이 솔솔 부는 곳에 돗자리를 깔고 까만 밤하늘의 별들을 하나 하나 헤아려 가며 별자리를 찾고 그에 따른 신화나 전설을 이야기하는 것은 누가 보더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미국 유럽 일본 소련 중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1만여명의 한인과학자들, 그들은 국내과학자들보다 노벨상에 한걸음 더 다가서 있는 것일까?외국에서 활동중인 한국인 과학자 가운데 세계속에 이름이 빛나는 사람들은 누굴까.그들은 어떠한 삶의 통로를 지나 무슨 분야에서 조국과 자신과 가문의 영 ... ...
박테리아 광부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아이다호 국립 공학 연구소에 있는 과학자팀은 1990년 4월에 저급의 광석에서 코발트를 추출하는 데 박테리아를 이용해 왔다고 보고했다.이것은 인간이 지난 5천년 동안 몰두해 왔던 금속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매우 새롭고 중요한 기술일 수 있다. 돌은 깎아내거나 갈아야하는 반면, 금속 ... ...
이전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