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
단
진영
블록
통
편
대
d라이브러리
"
권
"(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01
이미 베스트셀러가 된 '하늘의 인내'(Patience dans l'azur) '열중의 시간'(L'heure de s'enivrer)등 2
권
의 저서외에 최근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이름을 따서 '말리코른'이란 책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리브는 우주 뿐만 아니라 과학 시 자유 나비 모차르트 등 여러 분야에 대한 그의 생각도 정리해 놓았다. 프랑스의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12
가장 중요한 숫자들인 0, 1, π, e, i가 한 공식에 결합돼 있기 때문이다. 이 숫자 각각은 한
권
의 책으로 펴내도 될 정도로 중요하다. 특히 π에 대해서는 현재도 새로운 연구결과가 계속 발표되고 있다.숫자들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름다운 대칭미를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함수를 표시하는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2
성공한 부품만도 여러가지다. 그 대표적인 것이 마그네틱파워서플라이. "포항공대
권
봉한박사가 설계하고 대우 우주항공연구소가 제작한 이 제품은 기존 것보다 성능이 수배이상 높고 에너지도 10%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PLS연구소 정연길 과장은 밝혔다. 이외에도 포스콘(POSCON)에서 개발한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11
이 도시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다. 그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국립도서관이다. 3백30만
권
의 도서를 보유하고 있는 이 도서관은 유럽에서 가장 큰 도서관중 하나로 꼽힌다.2차대전의 흔적이 곳곳에 도서관 맞은 편에 보이는 건물이 유명한 베를린필하모니다. 2천2백명을 수용하는 연주홀을 갖고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11
에 이르는 동안에 전개된 작업에서 두루마리 4천8백57
권
이 인쇄·제작되었다. 그 인본 중 40
권
이 지금 일본의 나라(奈良) 도다이지(東大寺)에 남아 있다. 그것은 송판본(宋板本)을 그대로 모각한 것이 아니고, "자체(字體)는 송판본 보다 청아(淸雅) 단정(端正)하다"고 김두종씨는 평가했다.송판본의 ... ...
PART4 소피아 안티폴리스
과학동아
l
199010
발전하는 첨단 과학단지다. 앞으로 EC가 통합된다면 유럽
권
과 지중해 너머 북아프리카
권
까지 활동을 확장할 계획이다. 소피아 안티폴리스는 오늘의 연구를 미래의 기업으로 연결시키는 실제적이며, 과학이 문화와 조화되는 과학연구단지라 할 수 있다 ... ...
초보자용 컴퓨터용어사전
과학동아
l
199010
'초보자를 위한 컴퓨터 용어사전'과 '포트란77의 기본과 응용' 두
권
의 컴퓨터관련서적을 발간했다.컴퓨터용어사전은 개정 한글맞춤법과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발간된 책으로 전자 통신 정보의 각 영역을 망라했다. 3백쪽. 4천원.포트란(FORTRAN)77의 기본과 응용은 공학용으로 많이 쓰이는 포트란언어를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10
출판부)등 9
권
이 교양서적이었다. 이를 보면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거의 매주 2~3
권
씩 교양과학 분야의 신간이 출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잘 팔리는 책'은 아직 소수그러나 이러한 붐 가운데도 '잘 팔리는 책'과 '안 팔리는 책'은 엄연히 구분된다. 중판을 거듭하는 책은 아직도 손가락으로 ... ...
세계인쇄사의 원년을 바꾸다
과학동아
l
199010
새로운 기술의 혁신적 개발로 이어진 것이다.종이에 붓으로 한자한자 글씨를 써서 한
권
씩 책을 만들던 신라사람들은 이제 새로운 방식으로 그 정보를 전달하게 되었다. 종이를 매체로 한 인쇄를 통해 규격화된 정보의 대량생산과 전파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비록 석가탑 다라니경이 붓으로 쓰던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08
이 사실은 최근 문화재관리국에서 직지심체요절의 복제본을 만들면서 떨어져 없어진 하
권
의 첫째장을 복원할 때 수행했던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됐다.그 일은 청주의 서예가이자 전각가인 오국진(吳國鎭)씨가 처음 시도했다. 사찰에서의 전통적 청동활자 주조기술을 재현한 것이다. 그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