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07
${C}_{60}$, 즉 풀러렌의 60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를 반응시킬 경우, 벤젠을 능가하는
무한
한 화합물을 유도해낼 수 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UCLA의 도널드 크램박사는 "풀러렌으로 부터 전혀 새로운 화학이 탄생할 것이다"라고 예언하고 있다.${C}_{60}$은 그 구조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화학자들이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07
색상을 저장하여 언제고 똑같은 색을 재현할 수 있다. 또 그 비율을 조정하여 그야말로
무한
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사람들이 컴퓨터그림을 선호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강력한 수정기능을 들 수 있다. 직접 도화지에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다가 아차 실수할 경우 그 그림은 휴지통으로 들어간다.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07
닫혀있을 수도 열려 있을 수도 있다(그림5). 이제까지는 우주의 전체적인 구조(즉 유한과
무한
의 문제)나 현재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전 우주의 시공간의 단면(그림1)을 보았다. 이제 시야를 좀 좁혀 우리 지구 근처 수억광년 이내에 은하들의 분포를 알아보자. 어두운 밤하늘에는 대형 망원경으로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06
그리고 그 기술의 발달은 동서 냉전체제와 선진제국들이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벌인
무한
경쟁에도 힘입은 바가 크다.이제까지 '과학동아'를 통해 연재한 컴퓨터 역사를 살펴볼 때에도 기술의 발달에는 과학적 지식과 그 외적인 요소가 두가닥의 실과 같이 꼬여서 나감을 보았다. 어떤 요소가 더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06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가? 그 팽창 속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우주는 유한한가, 아니면
무한
한가? 이러한 관측 자료들은 우주진화이론의 가능한 여러 해(解)중에서 실제 우주를 기술하는 답을 찾는데 필수적이다.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현재 우주를 이루는 기본 입자 또는 블럭이라 할 수 있는 은하의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05
세계의 우주개발 선진국들과 함께 손을 잡고 공동으로 우주개발에 참여해 후배들이
무한
한 가능성이 있는 우주로 진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우주인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시티를 떠났다.클라칼료프 무사귀환하기까지우주체류 313일"지상 4백km 상공에서 지구를 내려다보며 조국의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05
내린다.'빛이 있으라!'(성경 창세기 1장)아시모프가 가고 없는 지금, 과연 우리들은 그의
무한
한 상상력과 무궁무진한 가능성의 세계를 고스란히 이어받을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확신에 찬 대답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남긴 그 방대하고 독보적인 업적들은 영원히 ... ...
온누리호 돛을 달다
과학동아
l
199204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로 인해
무한
한 해양자원과 공간활용의 잠재력을 지니고도 연구장비나 조사선의 결여로 해양에 관해서 사실상 보잘 것 없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쳐야만 했던 그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예를 들면 우리나라 동해의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
과학동아
l
199204
있다. 전문음악인은 물론 음악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컴퓨터음악의 효용과
무한
한 가능성은 가슴저미는 매력이 아닐 수 없다.컴퓨터음악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자칫 잘못 생각하면 컴퓨터가 음악을 창작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고 컴퓨터음악이란 말자체가 잘못 생성된 느낌이 없지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북극(φ=90°)위의 관측자에 대한 천구가 그려져 있다. 이미 강조 했듯이 천구의 반지름은
무한
대(∞)이기 때문에 그림에서 지구의 크기를 무시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음에 유의하자. 북극위의 관측자에 대해 천정은 천구의 북극과, 지평선은 천구의 적도와 각각 일치하게 된다. (그림3)에는 적도(φ=0°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