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02
뇌에서 프리온 단백질(PrP)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1986년
연구자
들은 생쥐에서 프리온 단백질 유전자를 찾아냈고 1990년대 초 프리온의 구조를 밝혔다. 그 결과 스크래피나 CJD에 걸린 뇌조직에 있는 프리온 단백질은 정상적인 뇌조직에 있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이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02
뇌과학 위상을 높이고 있다. 또 이곳에서 만들어진 변이 생쥐는 이를 필요로 하는 국내외
연구자
들에게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2년이나 공을 들여 만든 변이 생쥐를 주는 게 아깝지 않을까.“실험재료를 교환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전통입니다. 저희가 보낸 생쥐로 재미있는 연구를 해 논문이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TRPM8이 발견됨으로써 진짜 온도 감각에 영향을 준 결과라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2007년
연구자
들은 TRPM8이 없는 생쥐를 만들었는데 예상대로 멘톨에 반응하지 않았고 저온에 둔감했다. 즉 20℃와 30℃로 맞춰진 방이 있을 때 정상쥐는 30℃ 방을 택한 반면 TRPM8이 없는 녀석들은 둘의 차이를 구별하지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01
이 기술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을 진단하는 데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다른
연구자
가 미처 보지 못한 분야를 먼저 개척하길 즐긴다는 조 교수는 누구보다도 ‘발상의 전환’에 강하다. 그는 “안경에 정밀한 거울을 설치해 눈의 망막 속으로 직접 빛을 쏘는 방식의 나노구동기가 있다면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01
넣어 이를 모아놓은 것 현재 다양한 생물 종의 유전자 라이브러리가 만들어져 있으며
연구자
들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얻어 실험에 쓸 수 있다천문학에서 거리를 재는 단위의 하나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1AU다태양계 초기에 가스와 티끌 등이 뭉쳐 만들어진 수km 크기의 작은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01
리보솜 단백질로 이뤄진 분자복합체인 리보솜은 전자현미경으로도 보인다. 2005년
연구자
들은 리보솜 전체를 결정화해 입체구조를 밝혔다. 2006년에는 리보솜에 mRNA, tRNA가 붙어있는 상태, 즉 단백질 공장이 돌아가고 있는 상태를 결정화하는데 성공해 입체구조를 규명했다. 1968년 tRNA의 결정에서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4
, 3위를 차지했대.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대학교 김정하 교수팀이 플로리다대학교팀과 공동
연구자
로 참가했는데, 2008년 대회부터는 단독으로 참가할 계획을 세우고 있대.무인 자동차 연구가 활발해지면 앞으로 졸음을 참아가며 운전할 필요가 없어지고, 화물을 운송 할 때는 사람 없이 자동차가 짐만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12
제시한 흔적들은 자연발화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장소마다
연구자
들은 다른 종류의 증거를 발견했다. 그 가운데 어느 것도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불 피운 자리가 여러 곳에서 나왔다는 것은 당시 인류가 불을 조작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한다.Q_79만년 전 요리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12
주장했다.이 주장에는 여러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이
연구자
가 오성취합의 기록이 조작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단기고사’와 ‘단군세기’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누군가 일부러 오성취합의 기록을 적어 넣었을 가능성이 크다.실제로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11
배지에서도 살아남는다. 반면 유전자가 재조합되지 않은 세포는 죽는다. 이렇게
연구자
는 원하는 유전자를 가진 세포를 얻을 수 있다.이렇게 얻은 세포를 털 색깔이 다른 쥐의 배반포 단계 수정란에 미세피펫으로 넣는다. 그리고 수정란을 대리모 쥐의 자궁에 이식한다. 그 결과 키메라 쥐(발생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