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d라이브러리
"
거대
"(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신의 입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길이 45m, 높이 25m인 ATLAS와 길이 22m, 지름 16m인 CMS는 이렇게 붕괴돼 나오는 입자를 잡을
거대
한 규모의 검출기다.힉스 입자가 발견되면 물리학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표준모형에서 단 하나 발견되지 않던 ‘골칫거리’가 해결되는 셈이니 우선은 표준모형이 완성될 것이다. 물론 여기서 끝이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뒤 천문학자들은 이미 발견된 100여 개 이상의 천체가 블랙홀이라는 증거를 포착했으며
거대
한 블랙홀이 우리 은하 중심을 비롯해 우주 곳곳에 흩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미국의 이론물리학자 킵 쏜에 따르면 블랙홀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이 필요하다. 일단 질량 혹은 에너지를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2018년에 완공 예정이다. 지름 8.4m짜리 반사경 7장을 조합해 지름 25m 주경을 만들고,
거대
한 주경에는 중력과 바람의 영향을 받아 반사경 표면이 휘어지는 현상을 시시각각으로 조정하는 능동광학을 적용한다. 부경에는 레이저를 관측 지점에 발사해 인공별을 만든 뒤 깜빡거림을 관찰하면서 대기층의 ... ...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달린 뒤였다. 너른 초원과 어우러진 노란색 건물은 아담했다. 그러나 건물 지하에는
거대
한 검출기가 자리하고 있으리라.마당에는 헬륨 가스를 실어 나르는 실린더가 가득했다. LHC는 초전도체를 만들기 위해 파이프의 온도를 영하 271℃까지 내린다. 이때 헬륨가스가 필요하다. 노 박사는 “CMS의 가장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하나의
거대
한 원자핵이다. 만약 중성자별 두 개가 충돌한다면 어떻게 될까? 우주에서
거대
한 입자들의 충돌 실험이 일어나는 셈이다.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은하 내부에 쿼크-글루온 플라스마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두 중성자별은 하나가 돼 블랙홀을 만든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신호가 방출된다.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5m짜리 솔레노이드는 물론 뮤온챔버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 크기가 지름 14m, 길이 21.6m로
거대
하다. 무게는 1만 2000t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초전도자석이다. 이 초전도자석이 만드는 자기에너지로는 금을 한 번에 18t까지 녹일 수 있다.CERN은 1990년 월드와이드웹(www)을 처음 개발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어가려는 구글의 야심작이다.이처럼 컴퓨터와 인터넷 업체인 애플과 구글이
거대
제조기업들의 격전장인 휴대전화 시장에 비집고 들어올 수 있다는 사실은 통신 시장의 경쟁패러다임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터치스크린 vs. 햅틱세계 주요 휴대전화 업체들은 올해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몸집과 이빨 때문이다.어찌 아이들뿐이랴. 그물에 걸려 올라온 몸길이가 10m가 넘는
거대
오징어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나오고 최홍만은 2m를 훌쩍 넘는 ‘덩치’가 최고의 흥행요소다. 때로는 크기에 대단히 민감하기도 하다. 키가 168cm인 아가씨는 ‘늘씬하다’는 소리를 듣지만 불과 10cm 작은 15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것이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것일까요?인간을 잡아먹는 무서운 식인새?영화에 등장하는
거대
한 새는 인간을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동물로 묘사되고 있어요. 하지만 포루스라코스가 실제로 인간을 잡아먹는 것은 무척 어려웠을 거라고 해요. 과학자들은 포루스라코스가 오히려 사람의 공격을 받았을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게 천문연의 목적이다. 내년에 KVN이 가동하고 그 뒤 한일 우주전파관측망이 구경 2000km의
거대
망원경처럼 작동하면 세계적 수준의 초정밀 관측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구보다 큰 망원경 건설?우리나라는 한일우주전파관측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한일 공동 상관기’를 개발하는 일을 맡고 있다.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