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성
민중
인민
민족
국가
시민
공민
d라이브러리
"
국민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존재다. 2004년 4월 개통한 KTX는 2년 만에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 6000여만 명을 수송하며
국민
생활을 획기적으로 바꿨다.이제 ‘금요일에 귀가해 월요일에 출근한다’는 일본 신칸센의 금귀월래(金歸月來) 현상이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금요일 저녁 고속철을 타고 교외의 집에 돌아와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절대적 비중을 TV 시청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우리
국민
들은 평일엔 2시간 이상, 주말엔 3시간 이상 TV를 보며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현상은 일본, 미국 등 선진국도 마찬가지다.‘제3세계 일부 극빈국을 제외한 인류의 대부분이 하루 2시간 이상을 TV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네덜란드는 우리나라의 전남과 전북을 합한 크기의 면적과 인구를 가진 나라지만
국민
소득과 과학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이다. 그러나 네덜란드가 오늘날 원예산업의 강국이 된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니다.19세기 말부터 기초학문이 발달한 네덜란드는 이미 식물분류학과 식물영양생리학 등이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시선속도가 변한다는 것을 밝혀 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일제 지배에 있던
국민
들은 에타 별을 그의 이름을 딴 ‘원철성’ 으로 부르면서 자랑스러워했다.한국 농업의 선구자 우장춘(1898〜1959)씨 없는 수박의 개발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우장춘은 ‘종의 합성’ 이론을 실험적으로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올 7월 9일로 탄생 150주년을 맞는 ‘세기의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의 연고지를 두고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가 실랑이를 벌였다. 테슬라가 태어난 곳은 크로아티아지만, 조상을 따져보면 세르비아 사람인 까닭에 양국에서 연고권을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이 논란으로 양국이 내분을 앓을 것 같지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내년부터 사용할 새로운 1만원짜리 지폐가 모습을 드러냈다. 올해 1월부터 사용된 5000원짜리 지폐처럼 크기가 작아지고 그림도 달라졌다. ... 통합시키고
국민
들을 안심시켰듯이, 오늘날의 과학기술도 시대의 요구에 맞출 수 있도록
국민
들이 월드컵 못지않은 뜨거운 성원을 보내주면 좋겠다 ... ...
아름다운 과학 은공예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자유전자가 연출하는 은은한 광택아름다운 백색의 광택을 가진 은. 현대 생활공간에서 흔히 보는 철(스테인리스 스틸)이 갖는 차가운 느낌에 비하면 은은 따뜻하고 귀족적인 품위를 발산한다. 그래서 유럽인들은 전통적으로 은으로 만든 식탁용구(cutlery, 포크, 나이프 등을 총칭)와 식기(食器)를 귀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사람과 동식물에 병원체나 유해균이 없는지 검사하고 격리시켜 국내 생태계와
국민
건강을 지킨다는 점에서 면역계와 비슷하다. 많은 관광객들이 드나드는 여름철, 대한민국 면역계의 최전선에 있는 인천국제공항은 과연 제 기능을 다하고 있을까.공항에 도착한 기자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하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갑자기 한 남자가 불안한 저음으로 “대~한민국”하며 우스꽝스럽게 끼어든다. 최근
국민
유머로 자리 잡은 ‘고음불가’의 한 장면. 개그맨 이수근 씨는 노래를 ‘못 불러’ 인기를 얻었다.마음먹은 대로 노래가 안되는 이유는 뭘까. 노래는 목으로 하는 게 아니다. 공기의 흐름을 분배하는 능력이 ... ...
5. 뼈와 근육 줄어드는 아수라장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6月 12日_ 1주일 만에 우주멀미 사라져달에 도착한지 벌써 1주일이 됐건만 아직 모든 게 부자연스럽다. 지구에서 이미 무중력 훈련을 했지만 단지 짧은 무중력 체험이었을 뿐이다. 우주월드컵조직위원회는 반듯이 누운 뒤 머리 쪽을 약 6° 아래로 기울인 자세에서 사이클 운동을 하도록 권장했다. 이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