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모"(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중성미자가 없는 이중베타붕괴를 찾고자 했지만 모두 관측하지 못했다. 앞으로 더 큰 규모로 탐색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인공’ 마요라나 페르미온 만든다입자물리학자들이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찾는 방법을 요약하면, 입자가 나타날 조건을 만들어 놓고 나오는 순간 보이는 흔적을 포착하는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리고 그곳에는 제어실이 있었습니다. 우주기지처럼 보이는, 흰 이동건물이었는데 규모가 작지 않았죠. 다른 오빠들은 이미 다 와본 듯 자연스럽게 그곳으로 들어갔습니다.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었습니다.“이 사람들이 제어해.”“뭐를요?”그러자 남선 오빠가 작업대 한쪽을 가리켰습니다.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실상 수명을 다했다. 우주거대구조 관측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은하 규모의 작동원리만을 기술할 수 있는 수정뉴턴역학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우주에 분포한 암흑물질은 표준모형에서 다루는 일반물질의 5배에 달하며, 대부분 차가운 ... ...
- 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실을 상기해야만 한다. 관측 기술은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없었던 거대규모의 우주를 관찰하려는 시도가 이제 막 시동을 걸었고, 다양한 거대우주망원경도 몸단장을 마쳤다. 관측과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더 발달한다면, 인류가 재구성하는 우주의 모양과 역사는 또 어떻게 바뀌게 될까.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그때쯤이면 수마트라 지진의 비밀이 한두 개쯤은 밝혀져 있으리라.지난 가을 경주에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해 우리나라도 그 어느 때보다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크다. 일단 지진이 발생한 후에는 피해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재난재해가 왔을 때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건물을 설계하는 것 등이다. 하지만 재해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면서 복원력 연구의 적용 범위가 도로망과 도시 커뮤니티까지 확대됐다.일 년 전 발생했던 서해대교 화재 사건은 복원력 연구를 잘 적용한 사례다. 당시 낙뢰로 인한 불길로 케이블이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박수가 쏟아졌어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전국에서 2300여 명이 참여해 사상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어요. 또 제비 탐사와 민물고기 탐사가 추가되면서 탐사 생물이 총 6종으로 늘어났지요.종별로 탐사하는 지역도 다르고, 횟수도 다르기 때문에 6종을 모두 수료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화려한 깃털이 달린 투구나 번쩍이는 보호구를 입었지요. 이런 화려한 군복은 대규모 전투 속에서 적군과 아군을 명확히 구분하는 동시에 군인의 용맹스러움을 나타냈어요.그러다가 19세기부터 영국군은 적군의 눈에 쉽게 띄는 흰색 군복에 흙먼지를 묻혀 위장하기 시작했어요. 이후 ‘카키’색은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선캄브리아 시기 말기인 약 7억 5000만 년 전부터 약 6억 3500만 년 전까지 이어진 지구 전체 규모의 빙하기를 말해요. 이후 빙하들이 녹아내린 시점부터 생물 폭발이 일어나요. 얼어붙어 있던 바다가 갑자기 따뜻하고 밝아지면서 산소 농도가 높아지고, 생물들이 번성하기 쉬워진 거예요.‘눈’의 ... ...
- 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충돌의 영향으로 태양 전지판에는 크기 40cm의 상처가 생겼지요. 물체의 크기와 피해의 규모를 통해 추정한 우주물체의 속도는 초속 11km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센티넬-1A는 지금도 정상적으로 운행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