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비밀은 냄비가 찌그러진 정도. 두드리는 부분이 얼마만큼 찌그러졌느냐에 따라 음의 높이가 다르다. 투박한 생김새와 달리 스틸팬이 내는 음색은 실로폰처럼 가볍고 상쾌하다 ... ...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자동차를 만들다!2012년, 호주에 특별한 자동차가 등장했어요. 바로 가로 3.2cm, 세로 1.6cm, 높이 1cm 크기의 작은 레고로 이루어진 자동차였지요. 이 자동차는 루마니아에 살던 20살 청년 ‘라울오아이다’와 호주에 사는 사업가 ‘스티브 샘마르티노’의 단순한 호기심에서 만들어지게 됐어요. 우연히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차를 만드는 역할을 하며, 물레방아는 전자제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답니다. 전지가 높이차를 만들어 전자가 흐르면 전기에너지가 생기고, 이 전기에너지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는 거예요.과학자들은 ‘전자의 위치(높이) 차이’를 줄여 ‘전위차’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또한 전자의 흐름을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법의인류학자들도 주로 머리뼈를 본다. 머리뼈가 앞뒤로 긴지 좌우로 긴지, 머리 높이가 높은지 낮은지, 얼굴 크기는 얼마나 크고 광대뼈와 입은 얼마나 튀어 나왔는지, 눈 구멍과 코 구멍은 어떻게 생겼는지 등 머리뼈의 특징으로 인종을 추정한다.치아 역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예를 들어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주어진 슈퍼컴퓨터는 머릿속에 있는 슈퍼컴퓨터의 이미지와 달리, 높이와 너비가 어른 손 하나 정도 되는 작고 귀여운 모습이었다. 하지만 성능은 무시할 수 없었다. 중앙처리장치(CPU)만 16개, 그래픽처리장치(GPU)는 768개나 됐다. 이 컴퓨터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처음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짧았다. 상하 높이도 한국 노인은 11.5cm, 서양 노인은 12.4cm로 0.9cm의 차이를 보였다.김 교수는 “그동안 한국 노인의 표준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결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한국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표본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갑문과 2단식의 미라플로레스 갑문을 통과하며 수위를 태평양에 맞게 낮춘다.수위를 높이고 낮추기 위해 운하의 한쪽에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존재한다. 하지만 워낙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건조한 계절에는 물 공급이 쉽지 않다. 낭비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하고자 파나마 운하는 ‘WSB(Water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두었거든요.레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레고의 윗면에 튀어나온 원기둥은 지름이 5mm, 높이가 1.7mm로 모두 똑같아요. 또 원기둥 사이의 거리는 3mm로 정해져 있지요. 그래서 모든 레고 블록이 서로 잘 맞는답니다. 이 규칙은 초기 레고부터 적용돼 왔기 때문에 30년 전 레고와 지금의 레고도 서로 잘 끼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화산 중에서 가장 거대한 화산이 있지요. 이 화산의 이름은 ‘올림푸스 몬스’예요. 높이가 2만 1229m이고, 지름이 600km에 이르지요. 화산의 지름이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보다 더 큰 셈이니, 얼마나 거대한지 상상이 되죠?그러나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인 올림푸스몬스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식으로 계속 쌓는다면 11~12층 정도에서 건설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층의 높이를 넉넉하게 15~20m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현대의 기준으로 아주 높은 건물로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바빌론의 에테메난키, 브뤼헐의 바벨탑도 모두 하늘에 닿을 만큼 높은 건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