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놈
남성
수코양이
d라이브러리
"
수컷
"(으)로 총 933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조 알에 성호르몬 투여, 성별 조작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타조를 번식시키기 매우 어렵다는데 있다. 타조류는
수컷
의 생식력이 부족하거나 암컷이 알을 낳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타조는 알을 낳지 않으면 자웅의 구별조차 잘 안된다고 한다. 그 때문에 알을 낳는 한쌍을 번식시키면 5만-8만 달러(약 4천만-6천4백만 원)의 ... ...
동물, 유성생식으로 진화한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유전자교환에 의해 유해한 변종을 배제하는 이점보다는
수컷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따른 위험 쪽이 훨씬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있다는 제안을 했다. 공작새 등 많은 조류에서 암컷이 밝게 빛나는 색깔의 깃털을 뽐내는
수컷
을 배우자로 선택하는 이유는, 깃털의 색깔이 선명할수록 그만큼 기생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상태인 것으로 진단하기 때문이라는 이론이다. 해밀턴의 아이디어는 북아메리카의 조류와 남아시아의 ... ...
쥐의 생체시계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짧아서 23.3-23.8시간이다.연구진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N에틸 N니트로소 요소를 주입한
수컷
쥐와 처리하지 않은 암컷쥐 사이에서 자식을 얻었다. 그 결과 3백4마리 중 한마리만이 24.8시간인 것이 있었다. 이 쥐가 가진 유전자를 '시계유전자'라 이름 짓고 다시 교배시켰다. 여기서 태어난 N2에는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언어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매체다.페로몬은 우선 곤충의 성행동, 즉 암컷이
수컷
을 유인해 교미를 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유인물질이다. 흰개미의 여왕이 분비하는 여왕물질은 다른 미성숙 암컷의 난소발육을 억제한다.꿀벌에서도 마찬가지로 여왕을 핥은 일벌로부터 입을 통하여 ... ...
척추동물
수컷
은 암컷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흔적을 남기고 있다면 생물학자는
수컷
과 암컷의 '차이'에 눈을 돌릴 뿐 아니라 좀 더
수컷
과 암컷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도 모른다고 그는 주장한다. 앞으로 이 이론이 더 많은 연구와 검증을 거치면 동물 성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크루스 교수는 말한다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고양이에 관한 아주 오랜 유전학적 연구가 있다. 얼룩무늬는 유독 암컷에만 나타나고
수컷
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암코양이의 얼룩무늬가 가진 색소 유전자에는 검정색을 만드는 유전자와 노랑색을 만드는 유전자가 있다. 두 유전자를 가진 염색체들은 피부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어떤 세포군은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무척이나 기다려진다. 이것과 관련해서 생각나는 것은 우리가 자식을 키우는데 암컷과
수컷
모두가 동등하게 열심히 일하는 북미산 들쥐를 본받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이다. Half of all the mammals in the world are of the order Rodentia, living almost everywhere. We humans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중 50여 종도 마찬가지이고 7백-8백 종에 이르는 식물 중 2백 50종이 희귀종이다.군함새
수컷
은 발정기의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 붉은 목주머니를 크게 부풀리는 새다. 이 새들은 잡목이 우거진 곳에서 떼를 지어 산다.갈라파고스에서 흔한 조류로 푸른 발을 가진 신천옹을 들 수 있다. 이 새는 새끼에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속간 잡종들이 그러하듯 메닭의 경우도 생식능력이 없다. 지금까지 생산된 메닭은 모두
수컷
이었다. 그러나 연구진은 개발 여하에 따라 생식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거의 모든 잡종이 불임이 되는 이유는?여기서 메닭이 '속간(屬間)잡종'으로 생산됐다는 점을 다시 한번 돌아볼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