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대양과 흡사한 여러 수괴가 있다어떤
저널
에 게재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
에 실린 다른 논문에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가를 나타내는 지수월식 또는 일식에서 천체가 가려지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값 일식은 태양의 지름, 월식은 달의 지름을 단위로 해서 지름이 가려진 부분의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차례 세계적인 수학자모임에서 초청강연을 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제 정수론
저널
’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그의 열정은 수학을 넘어 후배들에게 이어진다. 그는 WISE(Women into Science and Engineering)가 제공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다양한 강연을 하면서 수학자의 길을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들어오려면 대통령의 허락을 얻어야 했다.시집 몇 권을 제외하곤 과학 관련 서적과
저널
이 대부분이었다. 왼쪽 책장에는 하나 가득 뇌 관련 서적이 정리돼 있었다. 발병 후 따로 모아 검토한 듯 군데군데 포스트잇이 책갈피처럼 꽂혔다. 명사들의 서재에서 흔히 보는 세계문학전집이나 수필집 등은 ... ...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허용했다. 의료연구 목적에 한해 인간배아 복제를 허용하기로 한 것이다. 1997년 2월 과학
저널
‘네이처’에 처음으로 공개된 최초의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로슬린연구소를 중심으로 당시 영국은 자국의 생명공학 기술을 과시하고 있었다.영국에 이어 미국 정부도 연방정부가 재정지원을 해 ... ...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남성의 두배 정도였다. 이 내용은 지난 2월 미국 ‘생물정신의학’(Biological Psychiatry)
저널
에 실렸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섭식장애가 정신질환과도 연결된다는 점이다. 연구에 따르면 과식이나 폭식을 일삼는 사람의 절반 이상이 심각한 우울증에 시달렸으며 때론 스스로를 학대하는 성향도 보였다 ... ...
실험실에서 만든 지구 자기장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고등사범학교 미쉘 베르하누 박사팀은 지구 내부의 움직임을 실험실에서 재현해 물리학
저널
‘유로피직스 레터스’ 3월호에 발표했다. 지구의 내핵과 맨틀 사이에 있는 외핵은 4000~5000℃의 액체인 철로 이뤄져 있으며 지구 자전과 내부 온도차 때문에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과학자들은 외핵 ... ...
그린피스 “몬산토 옥수수 유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발표했다.그린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국제
저널
‘환경오염과 기술의 저장’ 3월 14일자에 게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몬산토의 유전자변형 옥수수인 MON863을 90일간 먹은 쥐의 간과 신장에서 ‘유독성 증세’가 나타났다.그린피스의 프랑스 지부 ... ...
무지개 빛 야광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박사팀은 눈에 보이는 모든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야광물질을 개발해 국제 물리학
저널
‘옵틱스 익스프레스’ 2월호에 발표했다.이 야광물질 속 전자는 에너지를 받으면 들뜬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에너지 준위를 바꾸면서 오래 빛을 방출한다. 야광물질 가운데 가장 오래 빛을 내는 것은 푸른 ... ...
PART1 수돗물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억울하기만 하다. 수명 연장 일등공신?지난 1월 영국의 의학전문지 ‘브리티시메디컬
저널
’은 지난 160여년 동안 현대의학이 이룬 가장 위대한 성과를 놓고 투표를 했다. 놀랍게도 가장 많은 이들이 ‘깨끗한 물과 하수도’를 꼽았고 항생제와 마취, 백신이 그 뒤를 이었다.과거 수많은 생명을 ... ...
'키스'로 스트레스 푸는 떼까마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가라앉히기 위해 키스하듯 부리를 비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1월 23일자에 발표됐다.떼까마귀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겨울 철새로 이름처럼 나무 위나 벼랑에 ‘떼’를 지어 산다. 많은 개체가 좁은 장소에 모여 살기 때문에 각자가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