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별자리로 그리스문자인 델타(Δ)와 닮아서 델타자리라고도 불렸다. 나일강 하구의 삼각
지형
인 델타를 떠올리거나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섬과 비슷하다고 여긴 사람도 있었다. 간단한 모양의 별자리지만 M33이 있어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 깨끗하고 어두운 밤을 골라 쌍안경으로 보면 바람개비의 희미한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드나들 수 있어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막아준다.참호나 차량 뒤 적까지 제압최근 산악
지형
이 많은 아프카니스칸과의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한 미국은 일반병사의 대규모 투입보다는 소규모 특수부대의 투입을 고려하고 있다. 미군이 보유한 최첨단 무기 중 특수부대원에게 지급되는 신형 ‘OICW’ ... ...
태양에너지 먹고 움직이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다.지난 7월 19일에 행해진 첫 실험에서 히페리온은 데번섬 주위 6.1 km를 돌았다. 미지의
지형
을 만나면 가끔씩 제대로 움직이지 않기도 했지만, 곧 좀더 쉽게 탐사할 수 있는 지역으로 이동했다.이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데이빗 웨터그린은 “히페리온의 탐사시스템은 매우 인상적이었다”면서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살피며 지능형 등산 기구를 이용해 처음부터 깎아지른 동쪽 산자락을 타고 오른다.
지형
의 경사도, 바람의 상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지능형 등산 기구가 큰 도움이 되지만, 화성의 중력이 지구 중력의 0.4배에 불과해 절반 정도의 힘이면 충분하다. 범수와 하영은 4km가 넘는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충돌해 크레이터를 만들 때 사방으로 튕겨져 나간 물질이 분화구를 중심으로 쌓인
지형
이다.보름달에 가까워지면 달표면이 태양빛을 정면으로 받으면서 대부분의 크레이터가 잘 보이지 않지만, 광조는 오히려 더 잘 보인다. 즉 크레이터를 중심으로 해서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듯한 밝은 빛살 무늬가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지구의 역사에 깊이 관여해왔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것이다. 비록 화성의 얼굴은 자연
지형
으로 밝혀졌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위해 또다른 증거를 찾아 음모론을 제기할 것이다.물론 일부 UFO와 외계인 마니아의 괴팍한 취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생명의 기원에 대해 과학적 탐구와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야르당이“바람방향으로 나란한 긴 축을 가졌다”고 표현했고, 1924년 독일의
지형
학자 요한네스 발터는“스핑크스를 닮았다”고 묘사했다. 더욱이 1939년 영국의 탐험가 랄프 바그놀드는 이집트의 야르당을“진흙사자”라고 표현했다.그렇다면 스핑크스의 누운 사자 몸체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 ...
화성 물의 존재 말하는 새
지형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습지 위에 나타나는 여러 용암수로와 관련돼 무더기로 발생하는 것이다.화성의 원추형
지형
이 나타난 시기는 1천만년 전보다 더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됐다. 맥이웬 박사는 “지하얼음이 수백만년 전 5m 정도 깊이에 존재했다면, 현재는 10m가 넘지 않는 정도의 깊이에서 살아남아 있을지도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볼 수 있다. 일출봉에 올라 한라산 방향으로 아래
지형
을 살펴보면 좁은 모래톱 모양의
지형
이 눈에 들어온다. 육계도라고 불리는 곳이다. 만약 육계도가 없었다면 일출봉은 섬이 됐다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나타난다. 이들 먼지폭풍은 햇빛의 반사도 차이에 의해 이미 친숙해져 있는 화성표면의
지형
위를 빠른 속도로 변화하면서 움직인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충이 되면 화성의 표면온도가 높아지고 먼지폭풍이 발생하는 빈도도 높아진다. 거대한 먼지폭풍은 주로 화성의 남반구에서 생기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