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깃털 달린 공룡 꼬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또한 공룡 깃털을 연구하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로이 워절리어스 박사는 “깃털
진화
의 역사뿐만 아니라 동물 비행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답니다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Xenopus) 속에는 염색체 수가 달라진 후에도 성공적으로
진화
해 온 종이 여럿 있다. 많은
진화
학자들이 왜 이런 특징을 보이는지 연구하고 싶었지만 그 동안은 적절한 모델이 없어 연구가 수월치 않았다. 권 교수의 연구 결과는 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열쇠다. 권 교수는 “정확한 유전체 지도가 ... ...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티끌구름에 관한 시상속도’로 기어코 천체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2015년에는
진화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를 비롯한 100여 명의 저명한 과학자와 함께 소행성 충돌 위험을 경고하는 행사를 하며 과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2016년 9월, 천체물리학자 메이는 소행성에 친구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
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지B’ 201 ... ...
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비약적인 발전을 연료 삼아 사변적 우주론에서 과학적 우주론으로 탈바꿈했다. 우주
진화
시나리오의 전체 그림은 얻게 됐지만, 의외로 아직 빠진 조각이 많다. 많은 과학자가 빅뱅우주론의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찾기 위해 대안이론을 제안했다. 과연 이 대안이론들은 성공을 거둘 수 있을까.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크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원리가 우주 초기에는 잘 성립했지만, 우주가 오랜 세월 동안
진화
하면서 우리 근처의 우주에서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물질 분포가 균일하지 않다면, 암흑에너지 없이 우주의 가속팽창을 다르게 설명할 가능성이 열린다. 표준우주모형에서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지평선과 편평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주로
진화
시켰을 때 닫힌 우주라는 결론이 나온다는 문제가 있다(우리 우주는 편평하다).초끈 이론의 입자 가운데에서 인플라톤 입자를 찾으려는 시도도 있다(스트링 가스 모형). 그러나 아직까지 편평도 문제조차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최초로 발견된 거예요. 이후 현재의 깃털과 비슷한 화석이 계속 발견되면서 공룡-조류
진화
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어요. 쉬 싱 박사는 “깃털공룡 화석은 육식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강조했어요.쉬 싱 박사는 공룡의 이름을 가장 많이 붙인 과학자로도 유명해요. ... ...
[과학뉴스] 유재석 옆엔 박명수, 우두머리 옆엔 2인자 침팬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4호
놀랍다”며, “우두머리 수컷과 2인자 수컷이 서로 도와 주는 행동들이 결국 침팬지의
진화
에서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과학뉴스] 캥거루 닮은 개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알을 낳는 ‘난생’에서
진화
했답니다. 그런데 이 개구리는 난태생에서 난생으로 거꾸로
진화
한 거예요.연구에 참여한 로빈 워니 교수는 “가스트로테카 익스큐비터는 올챙이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알을 다시 주머니에 넣어 기르는 전략을 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