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됩니다. 네더 요새의 좌표는 (-290, 74, 235)예요. 이 좌표를 기억한 뒤 처음 만든 네더 차원문을 타고 오버월드로 넘어옵니다. 네더월드와 오버월드의 좌표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어요. 바로 오버월드의 좌표에 나누기 8을 하면 네더월드 속과 연결되는 좌표가 되는 거지요 ... ...
- [특집] 인포그래픽. 코인의 종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한편 지불형 코인은 실제 화폐처럼 무언가를 살 때 쓰도록 개발된 코인이다. 맨 처음 비트코인도 화폐 자체를 목적으로 만들어 지불형 코인으로 분류되곤 한다. 상위 20위엔 안 들지만 프라이버시 코인이라고 불리는 다크 코인도 있다. 다크 코인은 거래 내역이 드러나지 않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 ...
- 호기심의 끝은 파멸... 청소년 마약중독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혈서를 써도 사흘을 채 못 버텼다”며 “마지막 정신병원에 입원했을 때 의사에게 처음으로 나를 마약중독자라고 인정했고, 살고 싶다는 마음으로 회복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마약 공급책에 대해서는 강력히 처벌하는 동시에 중독자들에게 갱생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동물을 통해서가 아닌 사람들간의 전염으로 촉발됐다는 것이다. 단지 원숭이에게서 처음 증상이 발견돼 원숭이두창이란 이름이 붙었으나, 결국 유행은 사람이 초래한 셈이다. 이에 6월 18일 전 세계 과학자 30명은 질병 이름을 비차별적이고 낙인을 찍지 않는 식으로 긴급히 변경할 것을 촉구했다.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꼼짝하고 싶지 않았다. 우리는 무언의 합의라도 한 듯 조용히 각자의 문제로 돌아갔다.처음부터 다시 쓴 것이나 마찬가지인 소설을 공모전에 던지고 나서야 나는 내가 많이 아프다는 것을 깨닫고 이불을 더 칭칭 몸에 감았다. 그러고 있으려니까 또 다른 나는 코드를 잘 수정했는지, 아프지는 않는지 ... ...
- [특집] 버블 465일 동안 생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비눗방울은 기초물리학의 보물!” Q에버래스팅 버블을 만든 계기가 뭐예요? 처음엔 가스마블의 노화 과정을 이해하는 게 목표였어요. ‘가스마블’은 2017년 프랑스 물리학자들이 만든 기포예요.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구형 껍질을 만들어 내부에 압축된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는 걸 발견한 ... ...
- [멍냥과학] 강아지는 모국어와 외국어를 구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추측했지요.연구팀은 “인간이 아닌 동물이 두 가지 언어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며, “이것이 개만의 특별한 능력인지, 다른 동물들도 가진 능력인지는 모른다”고 말했어요. 어쩌면 개가 사람과 오랫동안 함께 살면서 가지게 된 능력일지도 모르지요. 이와 더불어, 로라 쿠아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모여 형성된 거대 배터리인 만큼 폭발 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7년 처음 ESS가 도입된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33건의 화재 사고가 발생했답니다. 저궤도 위성 해수면 기준 200km에서 2,000km까지의 고도에서 지구 주변을 도a는 인공위성을 저궤도 위성이라고 해요. 국제우주정거장 ... ...
- [숫자뉴스] 우리 땅 함께 사는 이웃 , 5만 6248종!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우리는 얼마나 많은 종류의 생물과 함께 살아가고 있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에는 2021년 12월 기준으로 총 5만 6248종*의 생물이 ... 처음 알려진 새로운 생물을 말해요.미기록종 : 다른 나라에 있는 건 알려졌지만, 한국에 사는 건 처음 알려진 종을 말해요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빙~빙~ 돌아가는 ‘뫼비우스의 띠’처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모양이지요. 띠의 어느 한 지점에서 시작해, 띠가 이어지는 방향을 계속 따라가면 다시 처음 시작한 곳으로 돌아오게 돼요. 흐흐, 파리야. 넌 이 띠를 절대 빠져나갈 수 없을 거다! 신기하긴 한데…, 이 띠가 왜 중요한가요? 1949년 오웬 해리스는 뫼비우스 띠의 원리를 이용한 컨베이어벨트(물건을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