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외형은 비슷해 보이지만 기동성은 크게 향상됐다. 실제로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은 팔을 어깨 높이까지만 올릴 수 있었고, 몸은 굽히지 못했다.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우주복 공개 행사에서 “아폴로 우주 비행사는 달 표면에서 마치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박사과정 연구원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제가 알기로 왜소은하와 관련한 세계 최초의 시민과학프로젝트예요.왜소은하 프로젝트는 천체 사진을 하나씩 분석하면서 왜소은하를 찾아야 하는 천문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시민들이 표시해 준 사진을 기준으로 효율적으로 왜소은하를 찾을 수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용한 시기와 장소는 확실하지 않지만, 학계에서는 기원전 1500년경 히타이트 왕국에서 최초로 철기를 제작해 사용했으며 이후 그 제조법이 다른 나라로 전파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철의 제조법이 전 세계로 전파되고 이후 제철·제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원전 120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중국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6년 세계 최초로 ‘모쯔(墨子)’라는 별칭을 가진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을 쏘아 올려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7600km를 무선 양자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양자기술이 정말 어디까지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같은 불필요한 흔적을 지웠다.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사실감 있게 채색까지 마치자, 최초 발견 이후 50년 만에 마침내 데이노케이루스의 완벽한 골격이 복원됐다. 이는 가장 과학적인 고증을 거친 복원이기도 하다.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공룡을 100% 정확하게 복원하는 것은 사실상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으며, 이번에는 췌장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는 세계 최초로 돼지의 수정란에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주입한 키메라 배아를 만들어 2017년 발표한 바 있다. 사진은 4주 된 키메라 배아다. 돼지 배아에 인간 세포 넣은 ‘키메라 배아’실제로 과학자들이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고로 20년 동안이나 얼어있게 됩니다. 2019년이 돼서야 녹은 두 사람은 자신들이 세계 최초의 냉동인간임을 만천하에 알리죠. 이들은 늙지 않고 20년 전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습니다. 사실 의학적인 측면에서 냉동 기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신장 냉동과 해동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김시윤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의 진심이 느껴졌다. 이소연 2008년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우주에 다녀온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전 세계적으로는 475번째, 여성으로서는 49번째로 우주에 다녀왔다. KAIST에서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 ...
- [과학뉴스] NASA, 블랙홀 영상 공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연구팀이 처녀자리 A 은하 중심에서 최초로 관측해 낸 블랙홀 M87*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시뮬레이션한 블랙홀은 뜨거운 빛을 뿜어내는 얇은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있다. 강착원반은 블랙홀 주변 가스가 광속에 가깝게 회전해 생기는데, 블랙홀에서 가까울수록 회전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태양계 행성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볼시찬 박사는 최초의 외계행성이자 펄서 행성을 관측한 인물임은 확실하지만, 안타깝게도 노벨상의 선택은 받지 못했다. 김승리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