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맞기 전 마지막으로 번성한 시대이기도 합니다.처음 백악기를 구분한 사람은 벨기에 지질
학자
장 도말리우스 달로이예요. 1822년, 중생대의 한 지층에서 하얀색을 띠는 석회암의 일종인 ‘백악’이 많이 나오자 ‘백악기’란 이름을 붙인 거죠. 당시 얕은 바다에는 석회질 분비물을 내는 해양 생물이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과
학자
및 의사들과 협업해 꽃가루로 본 기후변화에 대한 논문을 냈어요. 여러 나라 과
학자
들이 지난 26년 동안 모은 방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해 꽃가루가 날리는 기간이 평균 0.9일씩 늘어난다는 것을 알아냈죠. Q 이런 일을 하시는 궁극적인 이유가 있나요?어느 지역에 어떤 꽃가루가 많은지,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케이블은 정말 현수선일까요? 1925년 미국 수학학회(AMS)에서 발행하는 회보에 물리
학자
아이라 프리먼이 현수교의 곡선은 이론적으로 현수선보다는 포물선에 가깝다는 것을 설명한 글이 실렸어요. 현수교의 케이블에는 도로를 받치는 로프가 일정한 간격마다 매달려 있기 때문에 현수선과 같을 수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죽음이 있으면 생명도 있는 법이죠. 별이 수명을 다하고 폭발하는 초신성의 잔해 속에서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어린 별 주위에서 행성이 태어납니다. 이번 호에서는 우주 ... 크다는 겁니다. 앞으로 또 어떤 예상치 못한 원시행성계 원반이 발견될까요? 여러분이 천문
학자
를 도와주세요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사고실험이 가능합니다. SF의 역할이란 바로 이런 것이죠. 미래를 예측해야 하는 미래
학자
와 달리, 문학을 하는 SF작가는 얼마나 미래를 정확하게 묘사했는지에 따라 평가받지 않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SF작가 어슐러 르 귄은 “SF는 예측을 하는 게 아니라 묘사를 한다”고 한 바 있습니다. SF 속의 ...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반면에 일본에서는 수
학자
가 코로나19전문가회에 직접 참가해요. 이처럼 우리도 수
학자
가 정책 전문가와 활발히 협력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길 바란답니다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
학자
들이 화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이로 인해 천문학의 발전이 더뎌질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하죠. 앞으로 기업가와 과
학자
들은 서로 머리를 모아 조화롭게 우주 공간을 활용할 방법을 찾을 예정이 랍니다. ●군집 위성은 우주의 날파리? 천체 망원경으로 잘 보이지 않는 어두운 별 사진을 찍을 땐 빛 을 많이 모으기 위해 짧게는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석사학위 과정을 시작했죠. 해외 석학 세미나에 참석할 기회가 많았는데 뛰어난
학자
들은 대부분 수학 외에 다른 분야도 함께 전공했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공학 분야를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석사과정을 마칠 때쯤 우연히 KAIST에 있는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수학을 전공한 연구원을 뽑는다는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크리스토퍼 지먼은 워릭대 수학과의 초대 학과장으로, 수학대중화를 중요하게 생각한 수
학자
였습니다. 김 교수님은 “한국에서 펼친 수학대중화와 관련된 활동을 업적의 일부분으로 인정해 준 워릭대 측에 고맙다”면서, “영국과 한국을 오가며 연구와 수학대중화 활동을 병행할 수 있어서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바이러스의 모양을 예측하다!1962년 미국의 생물
학자
도널드 캐스퍼와 영국의 화
학자
아론 클루그는 왓슨과 크릭의 발견을 발전시켜 바이러스 단백질 껍질들이 작은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가짜 정이십면체’ 구조를 따른다는 ‘준평형 원리’를 발표했습니다. 정삼각형 20개로 이뤄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