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
과학동아
l
2016.01.09
이 기술은 바닥을 ‘거울’처럼 이용했다. 거울은 표면에 들어온 빛을 입사각 그대로
반사
시키는데, 주파수가 극도로 짧은 레이저를 이용하면 거친 바닥으로도 이런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이 출발한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 ...
IoT 입은 생활가전
동아일보
l
2016.01.04
크기는 65인치에서 98인치에 이르고 표현 색상이 10억 개를 넘는다. 기존 제품보다 빛의
반사
를 최대 50% 줄여서 더욱 선명한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패널을 적용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김지현 기자 jhk85@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 ...
크리스마스에도 산불, 美 캘리포니아 주에 항공 레이저 떴다
2015.12.29
레이저 분광분석 기술을 활용했다.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에서 숲을 향해 레이저를 쏘고
반사
된 빛을 분석해 나무 꼭대기의 수분 양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위성관측 자료를 함께 활용해 나무와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도 살폈다. 그 결과 약 5800만 그루의 큰 나무들이 가뭄으로 인해 심각한 ... ...
[크리스마스에는 과학을④] 루돌프 사슴? 순록? 루돌프의 오해와 진실
2015.12.24
환경에 적응해 순록이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13년에는 순록의 눈 안쪽에 있는
반사
판의 단백질 구조가 겨울에 더 촘촘해져 빛을 잘 볼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나다니엘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는 어린이 과학 저널 ‘어린이를 위한 개척지(Frotiers for young minds)’ 2 ... ...
나이 들어도 늘 푸른 ‘어치’, 비결은
2015.12.22
크기가 바뀌면 빛의
반사
가 달라져 색도 바뀐다. 구멍을 크게 만들어 긴 파장의 빛을
반사
하면 하얀색이 나타나고, 구멍을 작게 만들어 더 촘촘해진 상태가 되면 푸른빛이 나온다는 뜻이다. 앤드류 연구원은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손톱도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사람은 어치처럼 구멍 ... ...
[한파, 무섭지 않아요 ③ : 클로의 비밀] 영하 10도에서 2.5클로 필요
2015.12.17
했다. 의복의 보온 기술이 소극적인 보온에서 적극적인 발열로 옮겨가는 셈이다.
반사
재질이 들어간 패딩 의류는 의복 자체 보온력이 1클로나 된다. 여기에 일상적인 겨울 의류를 함께 입는다면 보온력은 2.5클로를 훌쩍 넘긴다. 한파를 이기려면 몇 클로가 돼야 할까. ● 내복-셔츠-가디건-코트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소형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실험해 본 결과 기존보다 약 40% 더 투명해졌다. 또 내부에서
반사
되는 빛의 양이 60% 줄었든 것도 확인했다. 내부에서 발생하는 빛의 간섭이 줄었다는 것은 정면이 아닌 옆쪽에서 봐도 색 변화가 거의 없다는 뜻이 된다. 또 같은 전력을 사용해도 기존보다 더 밝게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은 표면이 거칠고 나노와이어끼리 접촉 저항이 컸다. 또 햇빛에
반사
돼 뿌옇게 보이는 ‘헤이즈(haze)’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도 있어 은 나노와이어를 산업계에 바로 활용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은 나노와이어를 만드는 기존 인쇄공정에 나노기술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 ...
이런 초신성 폭발 장면 본 적 있나요
2015.12.07
이상각 망원경은 이상각 煎 서울대 교수가 2014년 기부해 세워진 지름 43cm 크기의
반사
망원경이다. 연구팀은 폭발 순간 발생한 섬광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과 쌍을 이룬 별은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주계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섬광의 밝기는 ... ...
스타워즈 속 ‘3D 홀로그램’이 눈앞에 턱!
2015.12.02
방출한다. 광변환기에서 나온 빛은 좁은 틈을 통과하며 퍼져나가고 반구 형태의 거울에
반사
돼 3D 입체영상이 만들어지는 식이다. ETRI 연구팀이 360도에서 컬러로 구현이 가능한 홀로그램 개발에 성공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연구팀은 앞으로 영상의 화질과 크기를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