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진전이 있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유연
하면서도 감각센서가 통합된 폴리머로 만든 회로를 통해 인공무당 벌레가 남긴 미세한 움직임까지 느낄 수 있는 인공피부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스탠퍼드대 제공 ... ...
온수 온도 낮춰 난방배관 파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줄이는 데 성공했다. 딱딱한 구슬 모양이었던 열 저장 용기를 마이크로 사이즈의
유연
한 캡슐 형태로 바꾼 결과다. 또 이런 PCM 캡슐을 활용한 열 수송 원리를 시각화 기술을 통해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는 PCM 캡슐을 이용한 열 수송 시스템을 건축물의 온도 제어에 활용하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그러나 어려운 환경에서는 아무리 낳으라고 해도 별무소용입니다. 최근의 저출산 현상이
유연
한 생태학적 번식 조절 기전에 의한 적응적 현상인지 혹은 게놈 지연에 의한 부적응적 현상인지는 논란이 분분합니다. 후자의 가설은 영국 뉴캐슬대 대니얼 네틀 교수가 주장했는데, 저출산이 ‘일종의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PeLED의
유연
성을 향상시키고
유연
성 소자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는 게 가능해졌다”며 “이 기법을 다양한 조성의 페로브스카이트 연구에 적용해 PeLED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1 ... ...
태권도를 배운 언니
팝뉴스
l
2019.01.12
발차기 실력을 자랑하고 싶었다. 그러나 일이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언니의 다리
유연
성이 부족했던 것이 문제였다. 언니를 강력하게 발차기 했다. 동생의 머리 위 컵을 맞힐 수 있다고 확신해서 발차기 강도 조절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러나 불행히도 발끝은 목표에 못미쳤다. 충격은 받은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창업한 5개 기업도 함께 CES2019에 간다. 리베스트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유연
한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멤스룩스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와 그의 제자가 10년 이상 연구, 개발한 아이템을 사업화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를 위한 투명 면광원 광학 솔루션을 선보인다. 또 ... ...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나왔다
과학동아
l
2019.01.04
첸샤오핑 중국과학기술대 컴퓨터과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 손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유연
한 소재로 이뤄져 부드럽거나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국제지능로봇및응용콘퍼런스’에서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높은 생체신호 측정 능력을 보유하고, 신체 활동을 침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유연
하고 배터리 없이 유사시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계시스템과 스스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동작하는 제어기술도 들어갔다. 로저스 교수는 “장치가 몸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자동으로 ... ...
빛 투과하는 ‘투명 콘크리트’ 보셨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갈라진 틈을 풀처럼 메운다. 그 외에 휠 수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아진
유연
콘크리트 등 고정관념을 깬 다양한 콘크리트가 지금도 연구되고 있다. ... ...
COP24 한국 제안한 중재안 수용, 종료일 하루 넘기고 극적 타결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지침을 마련하면서, 자료 수집이과 보고가 어려운 항목 등에 대해서는 개도국에 적정한
유연
성을 부여했다. 기후변화에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이 기후기금(GCF)의 재원 마련을 위한 고위급 대화에 참여해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점도 명시했다. 한국이 주도한 이러한 중재안을 토대로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