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동아사이언스 ▽부장 승진 △데일리뉴스
팀
김민수 ...
KAIST 양자대학원 운영 돌입..."석박사급 양자 인재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상호협력해 공동 교육을 접목한다. KAIST 교수와 겸직교수로 임용된 출연연 연구원이
팀
을 이뤄 1명의 학생을 전담하는 ‘공동지도교수제’와 학생 참여 공동연구 등을 도입한다. 김은성 KAIST 양자대학원 책임교수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시카고대학과 ... ...
세계 최초 3D프린팅 로켓 발사 실패..."단 분리 성공은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목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랠러티비티 스페이스는 블루 오리진과 스페이스X에서 일한
팀
엘리스와 조던 눈 공동설립자가 2015년 함께 세운 회사로 우주발사체 업계 혁신 기업으로 꼽힌다. 엔진부터 각종 부품까지 로켓 질량의 85% 가량을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부품 수를 기존 로켓의 100분의 1로 ... ...
[주말N수학] 원주율에 '진심'인 사람들...소수점 100조 자리까지 계산
수학동아
l
2023.03.11
원주율 계산 프로그램인 와이-크런처는 계산할 자릿수를 미리 결정해야 해요. 우리
팀
의
팀
장인 헤이코 뢰케 연구원이 2π×1013에 해당하는 62,831,853,071,796자리까지 계산하자고 제안했어요. 컴퓨터는 필요한 자리까지 계산을 마치자마자 제때 멈춘 거지요." Q. 구글이 원주율 세계 신기록을 깼는데 ... ...
[프리미엄 리포트] AI·자율주행·암호화폐...미처 몰랐던 탄소 배출
과학동아
l
2023.03.04
크기가 훨씬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2018년, 롯파이 벨키르 캐나다 맥마스터대 연구
팀
은 정보 통신 산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7년의 약 1~1.6%에서 2040년까지 14%를 초과하는 양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doi: 10.1016/j.jclepro.2017.12.239 정수종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연구는 아직 ... ...
세계 최초 3D 프린팅 우주로켓 내달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로켓 ‘테란 1’을 발사한다. 랠러티비티 스페이스는 블루 오리진과 스페이스X에 일한
팀
엘리스와 조던 눈 공동설립자가 2015년 함께 세운 회사다. 엔진부터 각종 부품까지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부품 수를 기존 로켓의 100분의 1로 줄이고, 로켓 제작 기간도 60일 이내로 단축했다. 3D 프린터로 ... ...
[오늘과학] 영화 '워낭소리' 감동...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런 경향은 우리에서 혼자 지낸 송아지일수록 두드러졌다. 연구
팀
은 “이는 인간 뿐 아니라 다른 송아지와의 사회적 교류도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제공 각각 흰옷과 검은 옷을 입은 선수들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흰 셔츠
팀
의 패스 횟수를 세는 과제를 준다. 1분이 흐르는 사이 고릴라 분장을 한 사람이 나타나 가슴까지 두드리고 지나갔지만, 놀랍게도 실험 참가자의 절반은 패스 횟수를 세느라 이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얼마 전 ... ...
AI가 고위험 환자 수술 중 대량 출혈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이는 수술 전 예측 모델(AUROC 0.824)을 훨씬 능가하는 정확도다. 이승미 교수는 “연구
팀
이 개발한 ‘실시간 수술 중 대량 수혈 예측 모델’은 예측 정확도가 높아 대량 수혈이 필요한 고위험 환자군을 조기에 선별해 치료할 수 있다"며 "향후 전향적 후속 연구를 통해 수술 현장에서 인공지능을 ... ...
지구자기장보다 30만배 높은 자석으로 암흑물질 증거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보름 만에 분석할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민감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팀
은 지난해 3월 1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실험 결과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2월 16일자에 발표했다. 1.1GHz(기가헤르츠) 주변의 주파수 대역에는 액시온이 없음을 확인했다. 현재 액시온 탐색은 액시온이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