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단체
협회
모임
클럽
학회
집회
뉴스
"
회
"(으)로 총 7,35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이글거리는 '태양 항해하는 고래'…올해의 천문사진 후보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천문대는 이 사진을 비롯해 ‘올해의 천문사진’ 2024년 수상작 후보들을 공개했다. 16
회
째를 맞은 올해의 천문사진은 공개한 후보작 중 한 작품을 9월 최종 우승작으로 선정한다. 올해 전 세계 58개국에서 3600점 이상의 사진이 접수됐다. 에두아르도 샤베르거 푸포 제공 이중 에두아르도 샤베르거 ... ...
화재 예방 소방시설 불량 데이터, 애플 엔지니어가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최초로 제조업 R&D 지원센터를 구축한 것”이라며 “SME 위크를 통해 이뤄진 컨설팅이 일
회
성에서 그치지 않고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결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 ...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박남규 "연구비 적게 깎였다고 '축하한다' 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학생들에게는 가급적 남들이 하지 않은 새로운 것을 하라고 조언해 준다. 현재
회
자되는 기술이 아니라 10년, 20년 뒤에 나타날 기술에 관심을 가지시기 바란다.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모르기 때문에 내가 앞으로 공부하고 배워야 할 것이 많아서 오히려 좋다’라는 역설적 사고를 ... ...
'김치 식중독 1000여명' 英 BBC도 주목…사시사철 위험한 '노로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약 1000명이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김치로 인한 식중독을 앓고 있다"며 "김치를 생산한
회
사는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BBC는 지난 2020년 ‘김치, 한중 문화 갈등을 발효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낸 바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 ... ...
[박진영의 사
회
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기 주변에는 대부분이 성인이 되면 집과 차를 부모로부터 받기 때문에 사정이 어려운 사람을 거의 한 번도 직접 본 적이 없다고 이야기 한 ...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
회
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과기원NOW] 김성민 KAIST 교수, 모바일 국제학
회
최우수논문상 다
회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기술이다. 기존 기술 대비 반사성이 10배 이상 높은 밀리미터파를 활용해 장애물을 우
회
하는 반사 신호를 확보해 사각지대 없는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천문연 전직 원장들과 간담
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윤영빈 우주청장(오른쪽에서 3번째)이 천문연 전 원장들과 5일 경남 사천시 우주청 청사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우주청 제공. ■ 우주항공청은 5일 한국천문연구 ... 해외 파견 등 34건의 후속 성과를 거뒀다. 올해는 오는 8일부터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의 교류
회
가 열린다 ... ...
'하마가 날았다'…달릴 때 0.3초 공중에 뜨는 하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업로드 된 하마 영상들과 함께 프레임 단위로 분석했다. 총 32마리의 하마로부터 169
회
의 보폭 샘플을 분석한 결과 하마는 빠르게 달릴 때 최장 0.3초 동안 네 발을 모두 땅에서 떼고 '날아서' 간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허친슨 교수는 "하마는 대부분 물에 있고 위험한 동물이기 때문에 이전에 ... ...
식욕·감정도 억제…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
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경우는 세계 최초"라며 "뇌과학의 차세대 플랫폼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뇌
회
로의 기능과 작동 원리 규명, 인공신경망 및 양방향 BCI 기술, 뇌신경질환 치료법 개발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565-024-01694- ... ...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1차원 금속 기반의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극소형 반도체 소자가 기반이 되는 논리
회
로 구현에도 성공했다. IEEE가 보고하는 국제 디바이스 시스템(IRDS) 로드맵에서는 집적도 측면에서 2037년까지 0.5nm 수준의 반도체 기술을 전망했다. 12nm 이하의 트랜지스터 게이트 길이를 요구하기도 했다.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