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검토에 들어가면 명왕성은 행성으로 살아남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70년
이상
행성의 일원으로 사랑받았던 명왕성을 쫓아내기는 힘들거라는 의견이 다수다.관측기기의 발달로 최근 태양계 먼 곳의 천체들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2000년엔 지름 9백km의 바루나(Varuna), 2001년엔 지름 1천6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코넬대 교수 시절에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소설에는 여주인공이 먼 별로부터 탐지한
이상
한 전파신호의 내용이 우주공간을 통해 먼 별로 여행하게 해주는 ‘기계’에 대한 설명이라는 설정이 나온다. 세이건 박사는 이 기계를 우주에 벌레구멍처럼 뚫린 웜홀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이 ... ...
04. 땅속 불구덩이가 화강암 절경 이뤄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일어났던 화성활동을 대변해주는 거울인 셈이다.보통 화강암의 노출 면적이 1백km2
이상
이 되면 ‘저반’이라고 부르는데, 쥐라기의 화강암은 북동-남서 방향의 거대한 저반을 형성하며 분포한다. 화강암의 형성이 지각 물질의 용융으로부터 유래됐다는 점을 생각하면 당시 한반도의 지하는 마치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 있는 일이라는 얘기다.한편 기업들도 최근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제 연구원들도 더
이상
침묵하지 않을뿐더러 소송이 벌어질 경우 자칫 파렴치한 기업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법무법인케이씨엘의 김순영 변리사는 “최근 발명소송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발명보상 기준을 마련하느라 ... ...
기타줄 불태우는 산소의 인해전술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내면서 잘 탄다.탄다는 것은 연소반응이다. 연소는 타는 물질이 어떤 온도(발화점)
이상
에서 산소와 반응해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연소와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을 이루는 성분 알갱이들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나야 한다. 즉 기타줄을 구성하는 성분과 산소가 충돌해야 연소가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배터리 용량과 서체 인식률을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보통 한번 충전으로 4시간30분간
이상
거뜬히 쓸 수 있게 된 것. 화면 크기가 12.1-14인치로 커졌지만 무게와 두께는 더 가볍고 얇아졌다.보통 태블릿PC의 성능은 일반 컴퓨터와 같기 때문에 그 발전 속도도 비슷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하지만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육안으로도 꼬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맨눈에 보이는 혜성의 꼬리는 전성기 무렵 10˚
이상
일 것으로 예상된다. 혜성은 날마다 별자리를 조금씩 이동하므로 혜성의 움직임을 성도상에 그려가며 추적해보는 것도 흥미로운 관측법이 될 것이다.소형쌍안경에서는 두 혜성의 꼬리를 좀더 명확히 볼 수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부분의 소형 모터가 작동되면서 로봇 장치를 움직이게 한다.지난해 일본에서 65세
이상
의 노년층이 전체 인구의 18.82%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노년층의 신체활동을 돕는 입는 로봇의 수요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HAL을 개발한 산카이 교수는 “이미 장애인용 로봇팔의 개발에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하지만 백악기 후기에 한반도의 공룡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등 전국에 분포하는 10개
이상
의 소규모 분지에서 발견된다. 경상분지 외에 공룡화석이 가장 잘 알려진 곳이 해남분지와 시화분지이다.백악기 후기 어느날 전남 해남의 호숫가에 몸 길이 15m의 거대한 용각류들이 얕은 호숫가를 건너고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투과력을 자랑한다. 일반 투과전자현미경의 전자빔은 0.2-0.3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이상
의 두께를 가진 물체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보다 두꺼운 물체를 분석하려면 절단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소자가 손상될 경우 정밀한 분석이 어렵다. 그러나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의 고에너지 ... ...
이전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