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가장 밝은 별들을 거느리고 천천한 행보를 하고 있다. 카시오페이아와 백조자리 데네브
사이
에는 평소에 잘 인식하고 있지 못했던 별자리 케페우스가 오각형 모양을 한 채 북극성 주위를 회전하고 있다. 한편 동쪽으로 눈을 돌리면 알데바란을 앞세운 황소자리가 승리의 V자 모양을 하고 하늘로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 생각해 봅시다바퀴는 사다리꼴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뇌로부터 각 신경절
사이
를 연결하고 있는 신경섬유다발을 절단(그림5의 A)해도 활동주기성은 상실 되지 않았다. 그러나 뇌의 일부인 뇌간부를 완전히 절단해 버렸더니 활동의 주기성이 없어졌다.눈으로부터 시엽을 거쳐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한라산 등에 나지 않는 색다른 식물들이 많다. 이 식물들은 5월 중순경부터 9월 중순
사이
에 생활을 활발히 하고 10월에서 5월 중순까지는 동면한다. 한라산의 산정 부근에서 3월경부터 11월경까지 식물들이 생활하고 12월에서 2월 말경까지 동면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1천8백m 이상에서 자라는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가지고 있다.올해 측정 지역은 10군데. 서울을 제외한 9군데에서 예정됐던 8월7일부터-10일
사이
에 측정이 완료됐다. 예년에 비해 비교적 순조롭게 행사가 진행된 셈이다. 서울은 8월12일 재촬영에 들어가 성공했다.지리산 서울보다 4.76배 어두워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분석결과가 (그림1)이며 이를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비참한 지경에 이르러 있다. 한편 태즈메이니아에는 바다표범 사냥꾼과 원주민 여자
사이
에 태어난 튀기들이 아직도 살아 있다. 이들 혼혈아의 후손들은 최소한 4천명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인종차별 때문에 신분노출을 꺼리는 사람까지 감안한다면 원주민의 반쪽 후손들이 의외로 많이 살고 ... ...
충남대(신소재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졸업학점을 현행 1백40학점에서 1백60학점으로 상향 조정하고, 동일 학과 내의 전공
사이
에는 이중 69학점을 공통으로 운영한 뒤 2학년 이후 졸업까지의 학점에 의해 전공이 결정되도록 하는 등의 학사관리 개선책을 마련해 '공부 안하고는 배길 수 없는 대학'을 만들겠다고 밝힌다.교수 확충과 연구 ... ...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법칙에 의하면 태양이 행성을 당기는 만큼 행성도 태양을 당겨야 한다. 따라서 그 둘
사이
에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 곱에 반비례하고 두 천체의 질량에 비례함을 유추할 수 있다.이를 식으로 표시해 태양과 행성뿐만이 아니라 모든 물체로 확대한 것이 바로 만유인력의 법칙이고 그 식은 다음과 ... ...
다이아몬드, 한반도서 나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만들어진 조건은 산동반도의 것과 경로가 유사함을 알 수 있으나, 다이아몬드나 코어
사이
트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두 지역의 변성작용이 동일 성격의 것이었는가는 앞으로의 연구과제다.그러나 임진강대의 변성암이 만들어진 최대 깊이가 약 50km에 달하는 것은 보통 지각의 두께인 35km보다 ... ...
한글 왜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관계인 것이다.요즘 컴퓨터를 이용한 자연어 처리가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소리와 글자
사이
의 1:1의 관계가 유지되는 자연어는 보기 드물다. 따라서 우리말과 한글에 대한 자연어 처리는 우리가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가 성립한다.글자는 음성 언어를 기록하는 기호이므로, 그 말을 ... ...
지구과학- 지표근처암석 75% 퇴적암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면이며 이 면의 퇴적물이 거의 고르게 한겹한겹 쌓여서 점점 두꺼운 지층이 형성된다. 층
사이
의 면은 퇴적물이 굳은 후에도 잘 쪼개지는 면이 형성되는데, 이를 성층면이라고 한다. 성층면을 수직으로 잘라보면 각 층은 입자의 색과 크기가 다른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 ...
이전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