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캐나다 연구팀, 코로나 합성항원 백신 상온 보관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유코백-19'는 제3상 임상시험을 신청했다. 로벨
교수
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리포솜 기반 플랫폼이 유바이오로직스의 유코백-19에 사용되는 것과 구성성분이 약간 다르지만 이론적으로는 유코백-19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이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백신을 배포하는 데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약화 ‘낙관론’은 시기상조…네이처 "데이터 아직 부족해"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있고 감염자들이 젊은 연령층 중심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체빅
교수
는 “델타 변이 초기에도 델타 변이가 다른 변이에 비해 어린이에게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데이터가 쌓이면서 아닌 것으로 판명된 적이 있다”고 밝혔다. 네이처는 “과학자들은 ... ...
[과학게시판] 2021 미래연구정보포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2일 대전 오노마 호텔에서 ‘오픈 사이언스와 미래데이터 기술’이라는 주제로 2021 미래연구정보포럼을 개최했다. KISTI 제공 ■ 한국과 ... 국종성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와 여준현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
, 송충의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
가 해설 강연한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서울대병원, 정밀의료 및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연구 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강병헌, 이창욱 생명과학과
교수
팀이 시판 건강기능식품에서 항암성능을 찾아내고 작용원리를 규명해 이 약품보다 더 성능이 뛰어난 신규 항암물질도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 미토콘드리아에서 과다 생성되는 ‘트랩원’ ... ...
중국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생산한 그린수소 일본 탄소중립 목표량 충족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변환에 전달하는 방식이 고려됐다. 마이클 맥엘로이 미국 하버드대 지구·행성과학부
교수
는 “중국과 일본 양국의 기술 교류를 통해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 생산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사한 수소 생산 계획을 갖고 있는 한국으로 확장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저출산 고령화 시대 한국의 외교 전략, 소수가 부가가치 만드는 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과기협력대사직이 부활한 건 8년만이다. 지난 2011년 처음 신설된 뒤 민동필 서울대 명예
교수
가 3년간 역임한 뒤 줄곧 공석이었다가 최근 과학기술 외교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며 지난 10월 부활했다. 민 대사는 "미국과 중국 간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하면서 한국을 서로 끌어들이려는 요구가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1200일이면 북태평양 뒤덮는다…中 연구팀 시뮬레이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삼중수소의 확산을 보여주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후젠종 중국 칭화대 해양공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방류에 따른 삼중수소가 태평양으로 확산하는 것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에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일본은 2023년부터 후쿠시마 해안에서 1km ... ...
[과기원은 지금]UNIST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하는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머티리얼스’ 10월 23일자에 게재됐다. ■배병수 KAIST 웨어러블플랫폼소재기술센터
교수
가 KIST, 서울대병원과 공동으로 유연한 기판상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마이크로니들이 접합돼 말초동맥질환 진단에 응용할 수 있는 메디컬 센서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을 ... ...
구글 양자컴퓨터로 신개념 물질 '시간 결정'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이 개념은 지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프랭크 윌첵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석좌
교수
가 2012년 이론으로 처음 제시했다. 이후 양자 상태에서 시간 결정 구현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메릴랜드대와 하버드대 연구팀은 2017년 각각 시간 결정을 처음 관찰하는데 성공했다고 ... ...
한국통신학회 해동상에 신오순·방승찬·이남윤·이동우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커뮤니케이션 분야 아시아-태평양 지역 젊은 연구자상, 2021년 삼성휴먼테크 논문 지도
교수
특별상 등 다수의 저명한 상을 받았다. 최근에는 분산 무선통신 기반 다중사용자 협력 기계학습 시스템 개발 연구에 힘쓰고 있다. 이동우 수석연구원은 서울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를 거쳐 삼성전자 ... ...
이전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다음
공지사항